중구난방 사용되는 ‘커밍아웃’ 용어
동성애자에겐 삶과 존재의 문제인데…
나루 기자
2007-07-24 04:07:32
포털 사이트의 검색어 순위에 ‘커밍아웃’이라는 용어가 떴다. 무슨 일로 커밍아웃이 검색어 순위에 올랐을까. 유명 연예인이 커밍아웃을 한 것일까, 동성애자 권리단체에서 커밍아웃과 관련한 토론회라도 연 것일까, 아니면 지금 TV에서 동성애자의 커밍아웃에 대한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나?
키읔, 어, 미음…. 검색창에 커밍아웃의 한글자모를 차례대로 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한다. 하지만 익스플로어 창에 뜨는 것은 누군가의 커밍아웃 이야기도, 동성애자의 삶에 대한 고백도 아니었다. 검색된 내용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거짓 학력’ 문제였다.
<릴레이 ‘학력 커밍아웃’> (한국일보 2007년 7월 19일), <‘가짜학벌 커밍아웃’ …신정아, 이지영, 이현세 등 줄이어>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7년 7월 23일) 라는 제목의 기사들.
가짜학벌 커밍아웃, 정치성향 커밍아웃?
커밍아웃(Coming Out)이란 ‘벽장 밖으로 나오다(Coming Out of Closet)’는 뜻으로, 동성애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리는 행동을 일컫는다. 커밍아웃은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을 의미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이 용어는 동성애자들이 그만큼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는 함의를 담고 있기도 하다.
즉 동성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인해 자신을 있는 그대로 공개할 수 없는 것이 마치 벽장 속에 갇혀 사는 것처럼 무척이나 갑갑하고 고통스럽다는 호소가 담겨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커밍아웃은 본디 뜻과는 다르게 사용된다. 특히 선거철이 되거나 정치권에서 갈등이 끊이지 않는 시기에는, 커밍아웃이라는 단어가 유독 자주 등장한다.
<대선 앞두고 연예인도 속속 ‘커밍아웃’> (연합뉴스 2007년 7월 15일), <외줄(?) 타던 중립인사들 줄줄이 ‘커밍아웃’> (헤럴드경제 2007년 7월 13일), <대북 강경에서 ‘좌향좌’로 커밍아웃> (주간동아 2007년 7월 18일) 등, 언론은 유명인이나 정치가가 정치색을 드러내는 일도 커밍아웃이라고 부른다.
연예인이 성형 사실을 고백하거나 실제 나이를 밝힐 때도 커밍아웃이라는 단어가 쓰인다. <탈모스타의 커밍아웃, 하이모 CF 등> (세계일보 2007년 7월 17일) 이라든지 <中 “그래 우리 불량대국 맞다” 커밍아웃> (한국일보 2007년 7월 6일) 등의 기사 제목에서도 커밍아웃이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포털 사이트에서 ‘커밍아웃’으로 검색한 후 기사 50여 건을 찬찬히 살펴봤지만, 동성애 관련한 기사는 고작 4건이었다. 정작 레즈비언인 나 자신에게는 커밍아웃이 익숙하지 않은 일인데, 언론이나 대중에게는 참 익숙한 용어가 된 모양이다.
‘커밍아웃’ 용어가 남용되는 까닭
물론 언어란 신기한 것이어서 원래 쓰이던 의미가 확장되거나 변형되기도 하는 법이다. 커밍아웃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 것은, 그만큼 그 단어의 뜻이 많이 알려져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커밍아웃이라는 용어가 중구난방으로 쓰이는 일은 내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세상에는 쉽게 빗댈 수 있는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독일에서 지내다 온 지인은, 독일 사회에서는 나치 문양이나 나치군의 제복을 사용하는 일을 매우 경계한다고 했다. 이웃집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뛰노는 것을 보고 농담으로라도 ‘너희 개구리 소년 되겠다’라고 말해선 안 되고, 집 벽에 금이 가있다고 해서 ‘우리 집은 삼풍백화점이야’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비유가 용인되어 퍼져있지는 않다.
즉 사회적으로 합의된 고통, 대중이 공감하는 슬픔은 쉽게 비유 거리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그 사건이나 용어가 띠는 상징성을 존중할 때에 한해서, 대화의 내용이 될 수 있고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커밍아웃이라는 용어가 동성애자의 삶과 전혀 무관하게 자주 쓰이는 것은, 우리 사회가 동성애자의 삶과 고통에 대해 알고 있거나 공감하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오히려 언론이나 대중은 커밍아웃이라는 낱말이 띠는 선정성을 이용하고 있다.
심지어 어떤 기사를 보면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는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밝히는 것이 동성애자라고 커밍아웃하는 것보다 더 힘든 것이 사실”이라고 함부로 논하고 있다.(<새 트렌드 언니페미니즘> 경향신문 2007년 7월 12일)
동성애자의 삶에 대한 무지 반영
동성애자를 포함해서 장애인, 이주노동자, 여성, 노인 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 무관심한 우리 사회는 이들의 삶을 빗대어 말을 만들어 낸다. 가령 ‘당신의 삶을 가로막는 장애를 넘어라’, ‘노인네처럼 빌빌거린다’는 표현이 있다. 사람들은 이미 걸림돌이나 방해물보다 ‘장애물’이라는 단어에 익숙하고, 동성끼리 친밀하게 지내면 비하의 의미를 담아 ‘호모같다’라고 놀린다.
그렇지만 당신 자신이 당사자라면, 저런 비유를 쓸 수 있을까. 유명인이 지지하는 대선후보를 밝히는 것이나, 연예인이 성형 사실을 말하는 것이나, 자신이 했던 거짓말을 이야기하는 것을 두고, 커밍아웃이라는 단어를 쉽게 붙일 수 있을까.
커밍아웃을 하기 전까지의 숱한 고민들, 커밍아웃을 하면서 들어야 했던 혐오의 시선과 말들, 커밍아웃으로 인해 멀어진 친구들…. 반면 커밍아웃을 통해 느꼈던 희열과 자긍심, 내가 비로소 나 자신이 된 듯한 느낌. 동성애자들에게 커밍아웃은 삶과 존재의 문제다.
하지만 누군가들에게는 쉽게 갖다 붙일 수 있는 한낱 비유가 되어 버렸다. 씁쓸한 마음으로, 동성애자라는 말은 한 마디도 없고 거짓 학력에 대한 기사만이 빼곡한 익스플로어 창을 닫는다. 여전히 포털사이트의 검색어 순위에는 ‘커밍아웃’이 달려 있다. 우리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를 모르는, 그들의 세계.
ⓒ www.ildaro.com
* '일다'에 게재된 모든 저작물은 출처를 밝히지 않고 옮기거나 표절해선 안 됩니다.
* 차돌바우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10-20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