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title_Free
황무지 2006-09-16 20:45:49
+4 1364
1. 다음 문장에서 표준어의 표기가 바른 것은?
- (1.몇 일) 전부터 (2.해질녁)만 되면 (3.풋내기) 총각의 마음 (4.한 켠)에는 그녀 모습이 (5.으례) 떠올랐다.

2. 빗금 친 시간어의 풀이가 바른 것은?
1. 이 대회는 /해거리/로 열린다 -> 해마다
2. /해동갑/으로 밭일을 하였다 -> 해가 뜰때까지의 때
3. /해거름/이 되니 추워진다 -> 해가 거의 넘어갈 무렵
4. 이따가 /들마/에 들르겠습니다. -> 가게의 문을 열 무렵
5. /해포/ 만에 가슴이 탁 트이는 통쾌감을 맛보았다. -> 일 년 반의 시간

3. 사이시옷의 쓰임이 모두 바른 것은?
1. 뒷풀이, 뒷뜰  2. 촛점, 헛점   3. 숫꿩, 숫나사  
4. 우윳빛, 수돗물   5. 댓가, 갯수

4. 빗금 친 단어의 어미 표기가 바른 것은?
1. 뇌세포가 /망가진다던지/ 하여 몸에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설 연휴가 총 /사흘이여서/ 실제로는 일요일부터 귀경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3. "꼭 /돌아올께/" 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지만, 다시는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였습니다.
4. 학부모는 "아이들이 과외를 안 해도 학교에서 잘 /가르친대요/." 라고 말하였습니다.
5. "국민에게 진심으로 잘못했다고 엎드려 /사과하십시요/." 라고 장관에게 건의하였습니다.

5. 어림수를 잘못 읽은 것은?
1. 3~4  서넛    2. 4~5  네댓    3. 5~6 대여섯    
4. 6~7  여닐곱    5. 7~8 일고여덟

6. 빗금 친 단위어의 풀이가 틀린 것은?
1. 시집 갈 때 접시는 한 /죽/을 채워 보내라. -> 열 벌
2. 북어를 꼭 /쾌/로만 팔라는 법이 있습니까? -> 스무 마리
3. 그들은 앉은 자리에서 오징어 한 /축/을 다 먹어 버렸다. -> 스무 마리
4. 김장을 하려고 배추 한 /접/을 샀더니 마음이 든든하였다. -> 백 포기
5. 어머니는 시집 때 가져오신 바늘 한 /쌈/을 애지중지하셨다. -> 열두 개

--- 이상, KBS 한국어능력시험 1회, 2회 제출된 문제 중에서 어휘, 어법 중심으로 문제를 내 보았습니다. ---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답 3.
   1. 몇 일-> 며칠   2. 해질녁 -> 해질녘   4. 한 켠 -> 한 편   5. 으례 -> 으레

2. 정답 3.
1. 해거리- 한 해를 거름   2. 해동갑 - 해가 질 때까지의 동안   4. 들마 - 가게를 닫을 무렵   5. 해포 - 한 해가 조금 넘는 동안

3. 정답 4.
정답외에 모두 ' 받침ㅅ' 을 떼고 쓰는 것이 정상이다, 보충설명으로, 사이시옷에 관한 표준어 규정을 알아보면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모두 '수 -' 로 통일한다.

예>수꿩, 수나사, 수사돈, 수캉아지, 수캐, 수키와, 수퇘지, 수평아리 등을 표준어로 삼으며 예외로 숫양, 숫염소, 숫쥐만은 '숫' 을 인정한다.

4. 정답 4.
1. 망가진다던지 -> 망가진다든지   2. 사흘이여서 -> 사흘이어서   3. 돌아올께 -> 돌아올게   5. 사과하십시요 -> 사과하십시오

보충설명으로 조사 '-요'와 어미 '-오' 는 생략해도 말이 되면 '요' 를, 생략하면 말이 안 되면 '-오' 를 쓴다.
예> 그렇게 하십시오. / 그랬어(요).

5. 정답 4.
보충설명으로 고유어 수사 표기는 다음과 같다.

1~2 : 한둘, 한두   2~3,4 : 두서넛, 두서너   3~4 : 서넛, 서너  
4~5 : 네댓, 너더댓, 네다섯, 너덧
5~6 : 대여섯, 대엿   6~7 : 예닐곱   7~8 : 일여덟, 일고여덟  
8~9 : 엳아홉   열이 조금 넘는 수 : 여남은

6. 정답 5.
1. '죽'은 옷이나 그릇 열 벌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자립 명사, 단위성 의존 명사로도 쓰인다.
2. '쾌'는 북어의 묶음을 나타내는 다위로만 쓰이며, 예전에는 엽전 열 냥을 나타내는 단위로도 쓰였다.
3. '축'은 오징어의 묶음을 나타내는 단위로만 쓰이며, 북한에서는 일정한 횟수나 차례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쓰인다.
4. '접'은 채소나 과일을 묶어 세는 단위로서 쓰인다.
5. '쌈' 은 바늘을 묶어 세는 단위로 쓰일 때는 한 쌈이 스물네 개를 이른다.

문제외,
- 살아 계신 자신의 어머니를 타인에게 소개할 때 지칭어는 '어머니' 라 하고, '어머님'은  타인에게  돌아가신 어머니를 가르키는 지칭어로 사용된다.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4604 게이 칼럼 +4 웹진 2006-09-19 622
4603 재수없는 년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고... +5 박복한년 2006-09-19 1044
4602 장례식에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성소수자위원회 2006-09-19 635
4601 류진사댁 막네딸의 귀환 +7 류진사댁 막네딸 2006-09-18 952
4600 코러스모임의 이름을 공모합니다. +4 노래하는꽃마차 2006-09-17 748
» 문제를 맞춰 보셔요~ ^^ +4 황무지 2006-09-16 1364
4598 건의 +2 게이토끼 2006-09-16 520
4597 라이카 회원을 위한 선물 +3 진상조사단 2006-09-16 760
4596 친구사이 똥칠녀 두 명을 소환합니다 +3 진상조사단 2006-09-16 836
4595 자이툰 철군 9.23 반전행동을 위한 뉴스레터 파병반대국민행동 2006-09-16 539
4594 한남대교. +3 차돌바우 2006-09-16 941
4593 술 마실 때는 밥먹구 마시자.. +2 술독에 빠진년 2006-09-15 613
4592 라이카와 개말라의 은밀한 비밀 +3 비밀폭로단 2006-09-15 738
4591 삽질론 +6 훈훈남 2006-09-14 646
4590 이거 입고 싶다. +2 피곤한 게이 2006-09-14 556
4589 민주적 이성애자를 위하여 +2 개말라왜대답없냐? 2006-09-14 593
4588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3 편집증 2006-09-14 662
4587 친구사이 회원들이 '주몽'을 찍는다면 +10 낚시녀 2006-09-14 737
4586 개말라의 버릇 +1 개말라연애안하냐? 2006-09-13 584
4585 이웃집 헝가리 청년 +2 Steve 2006-09-12 744
마음연결
마음연결 프로젝트는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2014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성소수자 자살예방 프로젝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