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11월 |
---|
[소모임] 문학상상, 문학 한 숟갈
: 김성중, 『에디 혹은 애슐리』 중 「상속」
- 소설을 사랑하는 당신, 상속자
소설을 사랑하는 이에게 꼭 권하고 싶은 작품, 김성중 작가의 「상속」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인간은 죽을 때 무엇을 가져가고 싶을까요? 한강이 보이는 집, 고급 스포츠카는 아닐 것입니다. 또 무엇을 다음 세대에 길이 남길까요? 이 작품에서는 두 질문에 관해 책이라고 말합니다.
작품은 중년 여성인 기주의 췌장암이 재발했음을 밝히며 시작됩니다. 죽음이 머지 않은 기주는 화자인 진영에게 자신이 갖고 있는 책들을 넘겨주려 합니다. 이 책들 중엔 기주와 진영에게 글쓰기를 가르쳤던, 지금은 세상을 떠난 문학 아카데미 선생님에게서 물려받은 책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제목인 ‘상속’은 세상을 떠난 ‘선생님’의 책이 기주에게, 췌장암에 걸려 신변을 정리중인 기주의 책이 진영에게 전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품의 마지막에서 이 유산은 처음에 어디서 온 건지 밝혀집니다. 이때 제목 ‘상속’의 의미가 크게 확장됩니다. 이 유물들은 도스토예프스키, 발자크, 톨스토이, 나보코프, 플로베르, 카프카, 마르케스, 그 외의 작가들에게서 온 것입니다. 이들의 책은 오래도록 남겨져 후손들이 그들의 작품에 밑줄을 긋고, 그 밑줄이 그 작품에 생명력을 더하고, 또 세월이 훨씬 더 흘러도 길이 남을 유물들인 것입니다. 책에서 항아리로 표현되었듯이 마치 고대 유물 같은 성스러움과 귀중함을 가진 것들입니다.
작품에서는 뛰어나지 않은 작품들에게도 따스한 시선을 보냅니다. 수많은 작가 지망생들의 습작들에서도 빛나는 작은 부분들은 있기 마련이며, 이것들은 부서진 항아리 조각으로써 미약한 빛을 내뿜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작은 조각들이 모이고 모여서 하나의 큰 빛무리를 이루고 있다는 것, 이 빛무리 안에서 유물들이 더욱 빛날 수 있다는 것. 이러한 표현으로 지금은 잊혀진, 혹은 발굴되지 않은 작품들에게 설 자리를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조각들이 점점 커져서 하나의 항아리가 될 테니까요.
작품을 읽다 보면 아마도 작가는 독자를 소설을 사랑하는 이들로 설정했을 것이라 짐작하게 됩니다. 작품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문학적 재능에 관한 인생의 아이러니, 인간은 언제 작가가 되는 것인지, 글을 쓸 때는 어떤 마음이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독자를 좁게 설정한 만큼, 소설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전달되는 재미와 감동의 진폭은 더욱 큽니다.
화자인 진영은 소설 도입부에서 밝혀지듯 글을 쓸 수 없는 상태였지만 기주에게서, 선생님에게서, 선대 작가들에게서, 글을 사랑했던 사람들에게서 유산을 상속받으며 글을 쓸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은 꿈으로 표현되며 마치 종교적 체험 같기도 합니다. 또 작품을 읽다 보면 마치 소설을 읽는 사람들을 한데 묶어 동일한 종교의 영향 아래 두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여기엔 독자도 포함됩니다. 종교라고 표현한 이유는 동일한 것을 믿으며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이야기가 우리의 처지를 더 낫게 만든다라는 생각입니다. 이야기의 신봉자라면, 소설을 사랑한다면 김성중의 「상속」을 추천드립니다.
문학상상 / 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