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기사

NEWSLETTER 연도별 기사
기사 갈래별 태그 리스트는 다음 링크를 통해 접근 가능합니다.
게이는 어느 쪽에 귀고리를 달까?
2004-01-03 오전 09:24:48
20278 0


'아직도' 많은 이들이 헷갈려하고 있다. 게이들은 과연 어느 쪽으로 귀고리를 달까?

왼쪽? 오른쪽? 아니면 둘 다?

이것에 대해 정답을 아는 이는 거의 없다. 실은 정답이 없다. 90년대 이전까지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퍼져 있던 풍문은 게이들이 '오른쪽'에 달고 이성애자 남성들은 '왼쪽'에 단다는 것이었다. 실은 그것도 게이들 몇몇의 이야기를 듣고 '플레이보이'紙에서 떠들어댄 영향이 크다. 플레이보이紙는 어떤 특정한 선호도에 의해 이성애자들이 왼쪽을 선호한다고 말했지만, 귀고리 착용 문화가 먼저 활성화된 건 게이 커뮤니티에서였다.

아마도 게이 커뮤니티로 피어싱 문화가 유입되었을 때 게이들이 70년대의 케빈 클라인 풍의 옷처럼 자신들을 표현하는 '하위문화의 표식'으로 귀고리를 사용했을 것이고, 나름대로 이성애자와 차이를 두기 위해 이런저런 논쟁을 벌였을 것이다. 그 논쟁이 얼마나 다양했는지는 미국 내 각 지역의 게이 커뮤니티마다 왼쪽, 오른쪽 주장이 서로 틀리다는 것만 관찰해도 쉽게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이런 구분은 무의미해졌다. 남성 동성애자 표식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졌던 귀고리는 이미 많은 이성애자들도 애용하는 악세사리가 된 지 오래되었다. 미국 내에서 이루어졌던 다양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이제 '왼쪽, 오른쪽'을 구별해서 귀를 뚫는 사람은 거의 없다. 청바지를 이제 노동계급의 상징적인 표식으로 받아들이지 않듯이 왼쪽과 오른쪽 귀 밑에서 달랑거리는 귀고리는 그저 그것일 뿐이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정체성 표식으로서의 귀고리 기능은 사라졌다. 외려 이성애자 남성들이 더욱 열을 내서 이쪽 저쪽 안 가리고 구멍을 뚫어대고 있을 뿐이다.

귀고리에 대한, 이미 소용이 끝나버린 작은 논쟁은 미국에서 한국으로 흘러들어온 게이 커뮤니티의 옛 전설에 지나지 않는다. 뉴욕의 어느 게이가 내가 차고 있는 왼쪽의 귀고리를 가리키며 '바텀'이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걔네 동네에서는 왼쪽이면 바텀이고, 오른쪽이면 탑, 양쪽 모두 착용하면 '올'이라고 한다. 하지만 기껏 70년대 게이 커뮤니티의 흔적을 더듬는 아련한 농담에 지나지 않았다.

이제 귀고리는 미적 기능을 가질 뿐이다. 피어싱 문화를 가리켜 '아프리카의 귀환'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서구 제국주의에 의해 사장되어 버린 아프리카 흑인들의 빛나는 피어싱 문화의 도래, 20세기 미국에 초반부터 불어닥친 이 피어싱 문화는 청교도와 카우보이들의 암약된 금기를 피해 선술집과 게이 바에서 명맥을 유지해오다가 이제는 어느덧 문신과 함께 떳떳하게 아티스트의 손길 속에서 다시금 피어나고 있다.

젖꼭지에 피어싱을 하든, 배꼽에 피어싱을 하든, 이제 피어싱은 자기 신체 사용의 자결권을 위한, 그리고 자신의 신체를 미학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하기는 사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옛 귀족 계급들의 귀고리는 부와 권력의 상징이면서 미적인 기능을 띠고 있었다.

누군가 당신에게 왜 귀고리를 하냐구 묻거든, 그리고 왜 왼쪽이나 오른쪽에 했냐고 묻거든, 굳이 얼굴 붉히며 마음에 없는 소리를 나열할 필요가 없다. 그저 미적이고 싶다고 하면 그만인 것이다.

아니면 이렇게 말해도 좋겠다.

북유럽 켈트족, 특히 지금의 노르웨이의 조상들인 바이킹 족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당시에 한쪽에 귀고리를 하는 게 유행이었다. 먼 항해를 떠나는 바이킹 해적들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기 전에 귀고리 한 짝씩을 나눠가졌다고 한다.

육지에 남겨놓은 연인도 한 짝, 배에 올라탄 연인도 한 짝씩 나눠 귀에 착용한 것. 누군가 당신에게 왜 한쪽에만 귀고리를 했냐고 묻거든, 나머지 한 짝을 가진 연인을 찾기 위해서라고 말하는 건 어떨까. 실은 그것이 내 개인적으로 귀고리를 한 유래의 기원이기도 하다.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검색
마음연결
마음연결 프로젝트는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2014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성소수자 자살예방 프로젝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