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12월 |
|---|
[활동보고 #3]
아름다우려고 작정한 모양

해명할 일이 많다. 해명은 억울한 사람 몫처럼 보이지만 나는 그저 들킨 속내를 다시 말하는 사람이다. 무언가를 사부작거리며 만들어야 하는 미술대학을 다니면서도 많은 선생님들과 싸웠다. 작품을 자꾸 예쁘게 만들라는 말에 ‘예쁜 건 사고 싶지, 만들고 싶지 않아요’ 대답했고, 완성도를 문제삼을 때는 알바비를 털어서 작품을 공장에 맡겼다. 이는 반항이 아니었고, 딱 그 정도만 원했던 사람의 고집이었다. 미감은 극도로 몰아가야 눈에 들어오고, 그렇게 해야 전시를 하기 쉬워진다는 조언을 듣고 있자면 ‘모두가 스펙터클 중독자’인 것처럼 느껴졌다. 모든 말과 모든 미감, 모든 것이 절정에 치닫아야 할 필요는 없다. 옆사람보다 ‘더 큼’의 논리로 아름다움을 차지하는 일은 가엾고, 투머치만을 알아보는 심미안이란 하찮다. 스펙터클 특유의 공회전하는 서사를 듣다 보면, 여기 어디에 상상력이 있는지 의심이 들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대충 “안 예뻐”라고 내뱉는 바람에 자주 해명하곤 했다.
작정한 듯 아름답다는 표현이 주로 비하의 의미로 쓰이던 어느 날, 문득 깨달았다. 아름답다는 말 자체가 너무 아름다워서, 나는 이 수식어를 내가 사랑하는 대상에게 돌려주어야 했다. 나의 친구들이 등장하는 인터뷰를 본 관객이 다음 작업은 무슨 주제로 할 거냐는 질문을 했을 때였다. 이후로도 소중한 친구들의 말을 귀기울여 들을 생각이었다. 평생을 붙어있고 싶은 게이 친구들과의 인터뷰가 관객에게는 그저 지나가는 컨텐츠로 보였나 싶었다. 그 관객이 싫었다. 소위 말하는 퀴어예술/예술가의 과업은 ‘스스로를 계속 바꾸기’가 아니라, 불안하고 취약하게만 소환되었던 주제에 남아서 지키고자 했던 것을 지키는 일이다. 미감 도둑과 마이너리티 애호가, 연구자의 자료를 빌려 자신이 주목받는 작가처럼… 새롭다는 감각과 본인, 커뮤니티를 고갈시키며 창작을 지속하고 싶지 않았다. 작정한듯 아름답다는 표현은 모든 과정에서 응당한지 적합한지를 끊임없이 고민한 사람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제서야 나도 아름답고 싶었다.
벌써 3개월이 지났다. 2024년 9월 6일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 첫 출근을 한 뒤, 나는 종걸의 잔잔한 친절과 기용의 첨예한 활기를 겪는 게 일상이 되었다. 함께 점심을 먹으며 어떤 영화가 좋았는지 대화할 때면, 직접 본 영화보다 이들의 설명이 더 진국일 때가 많았다. 끔찍한 창작물을 봤을 때도 뭐가 역했는지 세세하게 말하는 기용의 불만이야말로 지독하게 아름다운 비평이었다. 단순히 창작물 뿐만 아니라, 행사를 기획하거나 정치적 상황에 반응하는 순간에도 종걸, 기용은 침착하게 적합한 말을 벼려냈다. 아주 잠깐 그들처럼 작문하지 못하는 게 스스로 아쉬웠는데, 배운 것이 다르고 문장을 만드는 자원도 다름을 점차 받아들였다. 창피하지만, 나는 지금 인권운동이 아니라 아름다움을 배우고 있다고 생각한다.
꽤 많은 사람들이 친구사이에서 일하게 된 연유를 물었다. 좋은 일을 하게 된 이유를 물어볼 때, 나는 속으로 천 번쯤 좋은 일이 아니고 아름다운 일이라고 생각했다. 30주년을 맞이했지만 스펙터클을 목표하지 않고, 가깝고 소소한 이야기에 자리를 내어줄 수 있는 커뮤니티 단체가 예뻤다. 간소하더라도 성소수자 각자 누릴 수 있는 무대를 만드는 과정도 상상력이 넘쳤다. 게이 커뮤니티의 친목과 인권운동의 역사 중에서 어느 것이 여전히 유효하고, 무엇이 변화가 필요한지 고민하는 과정이 아름다웠다. 인권운동은 취미로 한다든지, 미술계에서 물의를 저질러서 인권단체로 도망왔다든지 등 괴담을 듣고 온 회원에게는 뜬금없이 미술 얘기를 하기도 했다. 그림 그릴 때는 붓을 들다가 어느새 아이패드를 사용하고, 조각의 재료는 온갖 이상한 것들이 쓰이는데, 퀴어예술이 인권운동에 뛰어들지 않을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각각의 분야가 나뉘어진 이유가 있다지만, 나는 전시가 필요할 때 전시를 하고, 글이 필요할 때 글을 쓰고, 광장에 나가야 할 때 광장에 나가는 것이 아름답다고 여긴다. 항상 거슬렸던 ‘아름답다는’ 표현을 내가 소중하게 여기는 것들에게 돌려주기 위해서는 나 스스로 납득할 수 있는 선택을 하며 지내야했다. 여전히 상근자가 된 연유를 궁금해 하는 많은 분들에게 대답한다면 나는 아름다우려고 작정했기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글을 쓰고 나니 어쩐지 신경질적인 심미주의자처럼 보이는데, 3개월의 수습기간이 너무 행복했기에 저절로 아름답다는 말을 남발했다고 이해해주면 좋겠다. 사무국과 회원분들 그리고 언니들 덕분에 매일매일이 뿌듯했다. 아직 배울 일이 산더미처럼 쌓였지만, 내가 혼자 배시시 웃고 있다면 행복한가보다 생각하고 못 본 척해주길 바란다. “모두 잘 부탁드립니다.”
![]()
친구사이 상근활동가 / 민영
https://gitea.cncfstack.com/bothbest
https://nuhweh.com/bothbest
https://www.jokkey.com/bothbest
https://rentry.co/cr3ftptg
https://zybuluo.com/bothbest/note/2633830
https://bamboochopsticks.storeinfo.jp/posts/58026634
https://www.myfishingreport.com/blog-view.php?id=25827
https://www.xcspa.com/exploring-brazil-bamboo-flooring-reviews-suppliers-and-installation-options/
https://www.skudci.com/forum/1128712/exploring-brazil-bamboo-flooring-reviews-suppliers-and-installation-options
https://www.auseka.com.au/blog/exploring-brazil-bamboo-flooring-reviews-suppliers-and-installation-options
https://drukarnia.com.ua/articles/exploring-brazil-bamboo-flooring-reviews-suppliers-and-installation-options-P-8sO
https://paidforarticles.in/exploring-top-brazil-bamboo-flooring-reviews-suppliers-and-installation-options-892996
https://connect.usama.dev/blogs/46681/Exploring-Brazil-Bamboo-Flooring-Reviews-Suppliers-and-Installation-Options
[184호][이달의 사진] 우리가 잘 노는 게 인권운동
2025년 11월 1일 토요일, 이태원 참사 이후 3년만의 할로윈이 돌아왔다. 참사 현장에는 추모의 뜻을 담은 포스트잇과 꽃들이 놓였다. 이태원로에는 종종 행인들...
기간 : 10월
10월 친구사이 : 웰컴!! 추석 명절과 개천절, 한글날 등 공휴일로 10일에 가까운 연휴로 시작했던 10월이었습니다. 친구사이는 ‘재회의밤’으로 그 1...
기간 : 10월
[184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7]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차해영·전후석 패널 후기
[184호]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7]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 차해영·전후석 패널 후기 우리가 바라는 것은 그리 대단하...
기간 : 10월
[184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8]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참가자 후기
[184호]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8]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 참가자 후기 친구사이는 성소수자 정치의 가능성을 찾아 나...
기간 : 10월
[184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9] 일본 제25회 참의원 이시카와 타이가 인터뷰 : 0을 1로 만드는 운동
[184호]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9] 일본 제25회 참의원 이시카와 타이가 인터뷰 : 0을 1로 만드는 운동 日本第25回参議院議員 石川大我インタビュ ...
기간 : 10월
[184호][활동스케치 #1] <퀴어 진zine을 만들자!> 참여자 후기
[활동스케치 #1] <퀴어 진zine을 만들자!> 참여자 후기 친구사이 문화콘텐츠팀에서는 지난 2025년 9월 11일, 18, 25일 3회차에 걸쳐 〈퀴어 진zine을 만들자!〉 ...
기간 : 10월
[184호][활동스케치 #2] 퀴어 영화를 잘 읽어내는 훈련 :〈금요 비디오방〉참가자 후기
[활동스케치 #2] 퀴어 영화를 잘 읽어내는 훈련,〈금요 비디오방〉참가자 후기 2025년 10월 17일 저녁, 친구사이 사정전에서는 〈금요 비디오방〉 상영회와 GV가...
기간 : 10월
[184호][활동스케치 #3] 애도는 나눌 수 있는 걸까 : ‘재회의 밤’ 후기
[활동스케치 #3] 애도는 나눌 수 있는 걸까 : ‘재회의 밤’ 후기 돌이켜보면 사회에서 애도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시간이 공식적으로 없는 건 아쉬운 ...
기간 : 10월
[184호][활동스케치 #4] 다양한 사연이 낮은 문턱을 넘는 날 :〈웰컴데이〉참가자 후기
1. 오후 4시부터 6시 웰컴데이 스케치 웰컴데이는 2024년부터 기획된 신입 혹은 손님맞이 행사입니다. 유난히 1박 2일 워크샵을 부담스러워 하는 피드백들이 많...
기간 : 10월
[184호][기고] 선택의 권리와 사회·가족의 책임은 구분되어야 한다
[기고] 선택의 권리와 사회·가족의 책임은 구분되어야 한다 ** 이 글은 자살과 상실, 정신적 고통에 대한 개인적 경험을 다루고 있습니다. 유사한 경험이...
기간 : 10월
[184호][기고] 그 골목에서 나는 너를 보고, 너는 나를 보고: 10.29이태원참사 3주기를 맞이하여
[기고] 그 골목에서 나는 너를 보고, 너는 나를 보고: 10.29이태원참사 3주기를 맞이하여 새벽 검은 하늘 아래/ 우린 외로운 사람들/ 이렇게 엉킨 길 위를/ 하염...
기간 : 10월
[184호][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2 : ‘개연성 있는’ 살인, ‘개연성 있는’ 해고 -《어쩔수가없다》(2025)
[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2 : ‘개연성 있는’ 살인, ‘개연성 있는’ 해고 - 《어쩔수가없다》(2025) 1. 해고는 살인이고 AI도 살인...
기간 : 10월
친구사이 2025년 9월 재정보고 *9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990,019 일시후원: 1,170,210 사업 교육사업 : 80,000 마음연결 : 35,000 마음연결(민관협력...
기간 : 10월
친구사이 2025년 9월 후원보고 2025년 9월 정기후원: 642명 2025년 9월 신규가입: 6명 9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최윤석, 왕조양, 안수용, 박광흠, 올리, 양승욱...
기간 : 10월
[184호][알림] RUN/OUT #3 x <State of First> x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콜라보레이션 GV (11.8.)
RUN/OUT #3 x <State of First> x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콜라보레이션 GV 트랜스젠더 정치인은 어떤 도전에 마주하게 될까? 미국 최초의 '트랜스젠더 연방...
기간 : 10월
[184호][알림] 2025년 마지막 무지개돌봄 교육 신청 - 성소수자 자살예방지킴이 양성교육 (11.22.)
성소수자 자살예방지킴이 양성교육 <무지개돌봄> 올해 마지막 교육(11월 22일)을 개최합니다. 마음연결은 성소수자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 성소수자공동체의 ...
기간 : 10월
[184호][알림] 2025 친구사이 교육팀 하반기 프로그램 <친구사이 크루징 투어 - 종로 역사편> (11.23.)
2025 친구사이 교육팀 하반기 프로그램 <친구사이 크루징 투어 - 종로 역사편> 친구사이 교육팀에서 작년에 이어 서울지역 게이 커뮤니티의 중심이자 친구사이 ...
기간 : 10월
[184호][선관위공고] 2026년 친구사이 대표 및 감사단 선거 공고 (11.29.)
2026년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대표 및 감사단 선거 공고 Ⅰ. 선거 일정 1. 선거 공고: 2025.10.30(목) 2. 대표 후보자 등록: 2025.10.30(목) 18:00 ~ 11...
기간 : 10월
2025년 9월 12일, 친구사이가 주최하는 영화 <3670> 종로3가 GV 상영회가 CGV 피카디리1958 1관에서 개최되었다. 상영 후 GV는 친구사이 전 대표인 유튜브 '...
기간 : 9월
너무나도 알찼던 9월의 시간들 안녕하세요. 8월 한달의 안식월을 잘 마치고, 9월 3일 복귀한 사무국장 종걸입니다. 여러모로 수고해준 사무국 상근활동가들과 친...
기간 : 9월
아름다운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