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8월 |
|---|
[서평] 글쓰기를 권하다 - 안건모, 『삐딱한 글쓰기』
글쓰기. 글쓰기라고 하면 어쩐지 어렵고 대단한, 혹은 지루한 것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고등학교 시절 대학 입시에서 논술 비중을 늘린다는 발표가 있은 뒤로, 몇 개월간 철학과 비문학 책을 읽고 논박하는 글을 써야하는 수업이 있었다. 그저 오지선다 객관식시험에서 찍기신공을 발휘해오던 나로서는 ‘첫 단어’를 쓰는 데만 해도 한 시간을 골몰할 정도로 무척이나 고역일 뿐이었다. 야심차게 시작된 논술수업이 철학이나 사회 문제에 대해 듣고 토론하는 시간으로 변질돼버린 것은 전적으로 내 탓인 셈이다.
결국 나는 글쓰기와 상관없이 수능점수만으로 대학에 입학했다. 고등학교 이후의 삶에 더 이상 객관식은 없었지만,그저 줄만 빼곡하게 그려진 답안지를 채우기 바빴고, 각종 과제를 위해서만 한글오피스를 켰다. 다만, 한때 인기를 끌던 싸이월드에 감수성을 드러내기 위해 과장된 문장들을 골라 쓴 것이 글쓰기라면 글쓰기였을 것이다. 그때까지만 해도 글의 이유와 힘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았다. 작가나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써야 글로서 가치 있다고 생각했기에, 글은 여전히 어렵고 강요되는 것에 머물렀다.
군 입대 후 시간은 흐르고 흘러서 무료하고 단조로운 지경에 이르렀던 때가 있다. 얼마나 단조로웠냐고 물으신다면,난데없이 책읽기를 시작한 정도라고나 할까. 얼마 후에는 한술 더 떠서 독서노트를 만들었다. 그저 몇 문장, 몇 단락을 받아 적는 작업이, 점차 미숙한 단문이 되어 나의 이야기로 이어졌다. 신기하게도 쓰면 쓸수록 문장 수는 점점 늘어나 문단을 이루었고, 일상과 감정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과정은 ‘지금, 여기’에 머무를 수 있게 해주었다. 나에게 최초의 일기는 좋은 구절, 탐나는 표현을 필사하고 감상을 적는 허영 넘치는 노트로부터 시작된 셈이다. 돌아보건대,그제야 나와 주변을 제대로 들여다보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렇게 일 년 동안 글쓰기에 대한 공포를 걷어내고 재미를 붙여가면서, 전역 즈음에는 시나브로 네 권에 이르렀다. 아주 사소한 계기가 글쓰기를 의미 있는 매체로 변화시킨 것이다.
글을 쓰는 이유는 저마다 다르고, 글이 주는 효용 역시 제각각이다. 현실 참여적인 작가, 조지 오웰은 『나는 왜 쓰는가』에서 글 쓰는 동기를 순전한 이기심, 미학적 열정, 역사적 충동, 정치적 목적 등 4가지를 들었다. 순전한 이기심에 의한 글쓰기로 시작하는 것은 결코 그릇된 시작이 아니다. 그렇게 시작한 글이 오히려 울림 있고 공감하기 쉽기 때문이다. 나에게 있어서도 글쓰기는 이기심에 기인한다. 일상다반사의 감정의 해소를 돕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글쓰기만이 갖는 매력은 지극히 ‘개인적인’ 방법이라는 데 있다. 느낀 바를 적확하게 묘사해보고 나름대로 정리해보는 내밀한 시간이다. 읽고 쓰는 일은 분명 수고스러운 과정이지만, 나를 직시하고, 기뻐하고 위안하는,모든 것이 가능한 혼자만의 방이 되어준다.
“글을 쓰려면 먼저 자기가 살아온 이야기를 솔직하게 써 보시라. 써 보는 데 그치지 말고 남에게 보여 주셔야 한다. 보여 준다는 말은 발표를 하라는 말이다. 그걸 자기가 갖고만 있으면 그건 일기밖에 되지 않는다. 살아온 이야기를 쓰면, 그 다음부터는 어떤 글이든 글이 술술술 풀릴 것이다. 그러고 나서도 글을 쓰지 못한다면? 내 책임 아니다. 아마 내면의 정직을 토해 내지 않았을 거다. 마음속에 있는 정직을 토해 냈는데 글이 안 된다면? 내 책임이다. 나한테 오시면 어떤 분이든지 글을 쓸 수 있게 해 드리겠다.”(p.127, '솔직한 글을 써야 한다' 中)
나를 포함해 많은 이들이 글 쓰는 것에 대한 그릇된 환상과 두려움을 갖고 있어서, 글쓰기는 삶과 유리되어 귀찮고 어려운 것이 되어버리기 쉽다. 그러나 평소처럼 맛있는 것을 먹거나 좋은 사람을 만나는 일로도 풀리지 않는 어떤 외로움에는 시시콜콜한 일상과 감정을 글로 표현해보고 간직하는 일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이런 관점에서 글쓰기를 망설이고 있는 이들에게 『삐딱한 글쓰기』는 좋은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노동현장에서 20년간 생활했고 마흔이 넘어 글쓰기를 시작한 저자가, 자기 삶의 중심에 서서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용기를 북돋아 주기 때문이다. 글이란 것은 똑똑한 사람들만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쉽게 읽히고 생활에 밀착한 글일수록 오히려 더 단단해진다고 말이다.
만약 『삐딱한 글쓰기』를 통해서 글쓰기에 대한 거부감을 덜었다면, 좀 더 욕심을 내서 『뚜껑 대신 마음을 여는 공감 글쓰기』까지 읽어보기를 권한다. 실제 글을 쓰는 단계에서 틈틈이 참고하면 좋은 책으로, 문장구성에 있어 보다 실용적인 방법론을 다룬다. 예를 들면, 짧은 문장으로 쓰기, ‘~것’의 남발을 줄이기,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기, 묘사를 통해 표현하기 등과 같은 식이다. 간결하고 생생한 문장을 쓰는 방법을 예문과 함께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실전 글쓰기에서 누구라도 어렵지 않게 적용해볼 수 있다.
아무리 좋은 글쓰기 책을 읽더라도, 글쓰기라는 것은 결국 개인적인 노력으로 완성된다. 바로 오늘, 자기 자신에게 귀 기울이는 짧은 한 문장에서부터 시작해보아도 좋겠다.
* 글쓰기에 관한 책들
- 『삐딱한 글쓰기』, 안건모, 보리, 2014.
- 『우리 문장 쓰기』, 이오덕, 한길사, 1992.
- 『뚜껑 대신 마음을 여는 공감 글쓰기』, 이강룡, 뿌리와이파리, 2010.
- 『나는 왜 쓰는가』, 조지 오웰, 한겨레출판, 2010.
![[50호][서평] 글쓰기를 권하다 - 안건모, 『삐딱한 글쓰기』.jpg](https://chingusai.net/xe/files/attach/images/275/504/411/14b673ee7afc2abf7361dd9d2561fd28.jpg)
![[50호][서평] 글쓰기를 권하다 - 안건모, 『삐딱한 글쓰기』 2.jpg](https://chingusai.net/xe/files/attach/images/275/504/411/d99934738306e074a463e96029c25f7a.jpg)
▲안건모, 『삐딱한 글쓰기』, 보리, 2014.
▲이강룡, 『뚜껑 대신 마음을 여는 공감 글쓰기』, 뿌리와이파리, 2010.
* 위 책은 친구사이 소모임 '책읽당'의 8월 선정도서입니다.
![]()
책읽당 회원 / 단팥빵
* 소식지에 관한 의견이나 글에 관한 피드백, 기타 문의 사항 등은
7942newsletter@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인터뷰] 평등을 꿈꾸는 사랑의 공동체 - 차별없는 세상을 위한 기독인연대
평등을 꿈꾸는 사랑의 공동체 <차별없는 세상을 위한 기독인연대> 고백하건대, 작년 어느 날 별생각 없이 일북(일반계정 페이스북)을 하다 이 로고와 함께 차별없...
기간 : 9월
“모든 시덥잖은 도덕으로부터 이탈된 채 찜질방에 누워있을 때는 가끔 철인처럼 무한정 힘이 솟기도 하고 어쩔 때는 한없이 눈앞이 어두워지기도 해. 마치...
기간 : 9월
지 극 히 주 관 적 인 게 이 용 어 사 전 "이쪽" “어머, 진짜? 쟤 이쪽이야?” 아마 “이쪽” 사람들이 게이라는 단어의 언급을 피하기 위...
기간 : 9월
[공연 감상평] 버스타고 함께 떠나요. - 뮤지컬 <프리실라> by 고래밥 고등학교 3학년 즈음일 것이다. 방송부하는 친구와 친해져 친구에게 ‘시나리오 한번 ...
기간 : 9월
* 소식지에 관한 의견이나 글에 관한 피드백, 기타 문의 사항 등은 7942newsletter@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기간 : 9월
2014 지보이스 정기공연 '밝힘' 마음 울적한 날엔 거리를 걸어 보고 향기로운 칵테일에 취해도 보고 - 하이힐과 넥타이 반반씩 현실과 과장 속에서 맞춰...
기간 : 9월
8월 30일 다시 친구를 만납시다. 휴가를 기다리는 설렘, 여정을 끝낸 후의 여운은 일상 속에 피곤한 우리를 다독여주는 힘이 되는 감정들입니다. 사실 자신의 주...
기간 : 8월
[커버스토리 20주년 특집 #1] 20주년 기념 <친구사이 20>을 맞이하며
<친구사이 20> - 친구사이 20주년 생일잔치를 맞이하며. 친구사이가 20년이 되었다. 길지도 짧지도 않은 역사가 만들어졌다. 스무 살, 사람으로 치면 성년으로 접...
기간 : 8월
[커버스토리 20주년 특집 #2] LGBTI는 도대체 어떤 ‘종족’인가? -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의 의미와 활용
LGBTI는 도대체 어떤 '종족'인가? -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의 의미와 활용 “연령별로 동성결혼과 파트너십 중 원하는 것이 뚜렷하게 차...
기간 : 8월
[커버스토리 20주년 특집 #3] 20주년 기념 기록물 정리사업 진행 후기
20주년 기념 기록물 정리사업 진행 후기 2012년부터 진행한 이 사업은 친구사이 회원들이 소장하고 있는 사진, 영상 등을 협조 받아 디지털화해서 보관하는 작업,...
기간 : 8월
[활동스케치] 가위, 바위, 보! 철학강좌 - 책읽당 <샘이 나는 세미나> 후기
가위, 바위, 보! 철학강좌 - 책읽당 <샘이 나는 세미나> 후기 올해 7월 매주 토요일마다 <책읽당>은 철학강좌를 개최했다. 1주차는 근대철학입문-마키아 벨리, 홉...
기간 : 8월
[기획] <친구사이 20년史 톺아보기 #05> - 이들이 있었기에 빛난 20년
<친구사이 20년史 톺아보기 #05> 이들이 있었기에 빛난 20년 - 역대 대표 인터뷰 및 설문조사 20년이라는 세월의 고개를 굽이굽이 넘어, 친구사이가 어느덧 20주...
기간 : 8월
새내기 정회원 인터뷰 :: 아론이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네 안녕하세요. 지금 나이가 몇살이죠? - 스물아홉입니다. 아. 그럼 현재 거주하는 곳은 어디예요? -...
기간 : 8월
性과 聖 수도자가 되고팠던 적이 있었다. 재밌게도 내가 성정체성을 알아가던 바로 그 시기에. 왜 그랬을까. 그때쯤 경험하기 마련인 제법 방종한 섹스를 훗날에...
기간 : 8월
지 극 히 주 관 적 인 게 이 용 어 사 전 "걸커" Pavel Petel, 이미지 출처 전방에 걸커: 안전거리 확보!(?) 당신의 ‘게이다’가 헛다리만 짚는 고물...
기간 : 8월
[서평] 글쓰기를 권하다 - 안건모, 『삐딱한 글쓰기』
[서평] 글쓰기를 권하다 - 안건모, 『삐딱한 글쓰기』 글쓰기. 글쓰기라고 하면 어쩐지 어렵고 대단한, 혹은 지루한 것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고등학교 시절 대...
기간 : 8월
* 소식지에 관한 의견이나 글에 관한 피드백, 기타 문의 사항 등은 7942newsletter@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기간 : 8월
친구사이 소식지 팀원 모집! "친구사이 소식지팀에서 함께 할 참신한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자격요건 - 한국어 프리토킹 가능자 - 초졸 혹은 이와 동등한 학력...
기간 : 8월
[활동보고] 뜨거운 것이 더 좋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사무국장 이종걸 지난 6월 28일에는 제6회 대구퀴어문화축제가 대구 2.28 기념 중앙공원에서 열...
기간 : 7월
[커버스토리 '꿈' #1] 제 꿈이 뭐냐구요? - 친구사이 회원들의 꿈 이야기
[커버스토리#1] "제 꿈이 뭐냐구요?" 친구사이 회원들의 꿈 이야기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너무도 상투적인 질문이지만, 진지하게 대답하려고 하...
기간 :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