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2월 | 
|---|

[활동스케치 #1]
친구사이 종로마을 생일잔치
성소수자 단체가 떡국 잔치를 열면 어떤 모습일까? 한국에서 명절에 음식 나눔 행사를 하는 일은 적지 않다. 명절에 어렸을 적에 할아버지나 할머니를 따라 경로당이나 노인정에 가면, 그 명절에 맞는 음식을 나눠 먹곤 했다. 개인들이 모은 것인지 시나 동에서 준비한 것인지 그 음식들이 다 어디서 나온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귀찮긴 했어도 막연히 동네 사람들과 음식을 나눠 먹는 유대감이 좋았다. 커뮤니티 단체인 친구사이는 그런 행사를 열 수 있지 않을까? 마침 설날 가까이 생일도 다가오고 하니 떡국이 먹고 싶었다. 그래서 떡국 먹는 생일 잔치를 기획했다.
친구사이는 1994년 2월 7일에 설립됐다. 사람으로 치면 그날이 생일인 셈이다. 친구사이 회원들은 반복적으로 듣는 설명이겠지만, 친구사이는 1993년 설립된 초동회의 후신 단체로, 현재 활동 중인 곳들 중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성소수자 인권단체다. 그리고 친구사이는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했다. 30살이면 젊은 편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놀랍게도 한국에서 보편적 인권운동을 표방하는 단체 자체가 생겨난 것은 1990년 초반이다. 노동, 여성, 민주화 운동 등 다양한 사회운동이 있었고, 독재정권이 양산해낸 정치범에 대한 양심수 석방 운동으로부터 인권운동이 태동했다. 특히 소련의 붕괴로 냉전체제가 형식상 종식되면서 체제 경쟁이 약화되고 좀 더 다양한 흐름이 형성될 수 있었던 것도 그 배경을 이룬다.
다만 나는 친구사이가 가장 오래된 성소수자 인권단체라는 설명을 할 때 살짝 조심하게 되는데, 가장 오래됐다는 말이 자칫 문화적으로 후진적인 단체라고 읽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오래되었다는 것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시간을 그동안 보내왔는가이고, 어떤 시간을 간직하며 단체가 이어져왔는가이다. 나는 친구사이가 오랜 시간 동안 성적 권리를 향한 열망을 사회에 투사하면서도, 묵묵히 살아가는 우리 삶을 돌보고 잘 먹고 잘 자는, 그러니까 ‘잘 지내는 너와 나’를 위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생각한다.

올해 친구사이 생일파티 ‘떡국 드세요’는 종로3가 <김치살롱 전마담>에서 2월 7일 열렸다. 전마담의 써니언니는 친구사이 회원들과 오래 관계해오면서 평일 저녁 시간 공간대관 문의에도 흔쾌히 수락해주셨다. 후원이라면서. 떡국도 다 손수 끓여주셨다.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친구사이 회원들이 그날 2시부터 모여 짐을 나르고, 재료를 손질하고, 지단을 붙였다. 브꼬, 재현, 유우지, 낙타, 고아라, 기진, 민영이 도왔다. 종걸, 일지와 나는 한복을 입었다. 110여명의 손님들이 와주셨는데, 맛있게 떡국 드셔주셔서 감사했다. 처음 보는 분들도 많았고 잠깐 시간내어 조촐한 생일상을 나눴을 뿐인데, 왠지 그리운 느낌도 들고 반가움도 크게 느껴졌다. 나는 ‘파티’보다는 ‘잔치’가 감성이 더 맞는 사람인 거 같다.
조금 투박한 잔치였더라도, 훨씬 가벼운 마음을 찾아올 수 있는 행사였다고 생각한다. 친구사이 들어온 뒤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밥 잘 먹으라는 것이었다. 사실 그만 좀 먹어야 하는데. 다음에 또 비슷한 걸 하게 되면 업소 사장님들도 조금 더 많이 오시고, 지나가는 시민 분들도 더 많이 오셨으면 좋겠다. 진짜 마을잔치처럼. 서로 먹을 것을 나누는 사이가 되면 좋겠다. 친구사이는 그런 행사를 열 수 있지 않을까?

친구사이 상근활동가 / 기용
[183호][알림] 친구사이 x <RUN/OUT>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2 (10.24.)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2 지금, 질문을 던집니다. “한국에서 정치에 도전하는 커밍아웃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상상해본 적 있나요?&rdqu...
기간 : 9월
[182호][이달의 사진] 게이들은 누구를 왜, 어떻게 돌보고 살았을까
2023년부터 가족구성권연구소에서 진행된 게이남성돌봄 연구의 최종보고서 『게이들은 누구를 왜, 어떻게 돌보고 살았을까 : 게이 남성 돌봄과 퀴어생존의 생태...
기간 : 8월
[182호][활동보고] 왓츠인마이백 : 친구사이, 다음 30년은 당신과 함께
왓츠인마이백 : 친구사이, 다음 30년은 당신과 함께 안녕하세요, 친구사이 상근활동가 기용입니다. 종걸 사무국장께서 8월 안식월이시기 때문에, 이번 활동보고...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1] RUN/OUT: 서로 다른 정치를 엮어내는 힘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1] RUN/OUT: 서로 다른 정치를 엮어내는 힘 성소수자 인권운동이 시작된 지 3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정치 진입의 구...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2] RUN/OUT: 참가자 후기 - 사적인 것이 정치가 된 순간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2] RUN/OUT: 참가자 후기 - 사적인 것이 정치가 된 순간 친구사이 8월 정기모임은 <이렇게 된 이상 국회로 간다>라는 주제로 열...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3] RUN/OUT: 한국 정치의 벽을 무너뜨리다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3] RUN/OUT: 한국 정치의 벽을 무너뜨리다 RUN/OUT: Breaking Down Barriers in Korean Politics 한국 정치 지형 속 성소수자...
기간 : 8월
[182호][활동스케치 #1]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한 <은수저> 선물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한 <은수저> 선물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해 <은수저> 선물로 마음을 모았습니다. 작년 10월부터 혼인평등소송을 시작...
기간 : 8월
[182호][활동스케치 #2] 말 걸기, 숨쉬기 — 친구사이·마음연결 프라이드 엑스포 후기
말 걸기, 숨쉬기 — 친구사이·마음연결 프라이드 엑스포 후기 지난 8월 23-24일, 주말 이틀 동안 사무국과 친구사이의 성소수자자살예방프로젝트 &l...
기간 : 8월
[182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50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 문집 합평 이야기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50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 문집 합평 이야기 : 할레드 호세이니, 왕은철 옮김, 『연을 쫓는 아이』, 현대문학, 2022[2...
기간 : 8월
[182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50 : 2025 정기공연 <Why We Sing>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50 : 2025 정기공연 <Why We Sing> 1. 2025 지보이스 정기공연 : Why We Sing 일시 : 2025년 10월 19일(일) 오후 6시 장소 : 양천구...
기간 : 8월
[182호][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0 : 온누리가 사내연애, <3670>
[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0 : 온누리가 사내연애, <3670> ▲ 박준호 감독, <3670>(2025) 서울의 게이커뮤니티 종로·이태원은 만인이 만인에게 식되...
기간 : 8월
친구사이 2025년 7월 재정보고 *7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12,203,405 일시후원: 17,264,300 사업 교육사업 : 1,480,000 마음연결(민관협력사업): 5,319,2...
기간 : 8월
친구사이 2025년 7월 후원보고 2025년 7월 정기후원: 637명 2025년 7월 신규가입: 4명 7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서정현, 강진우, 함용길, 이현우 (총 4명) 증액...
기간 : 8월
[182호][알림] 친구사이 x <3670> 종로3가 GV 상영회
친구사이 x <3670> 종로3가 GV 상영회 종로3가의 게이를 담은 <3670>, 종로3가에서 게이들이 상영하다 ★ 영화 관람 후 관객과의 대화 진행 Host : 망원댁TV 킴 ,...
기간 : 8월
[182호][알림] 친구사이 x <RUN/OUT>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1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1 지금, 질문을 던집니다. “한국에서 정치에 도전하는 커밍아웃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상상해본 적 있나요?&rdqu...
기간 : 8월
[181호][이달의 사진]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온 내란 옹호와 성소수자 혐오
친구사이가 2007년 이래 연대 단체로 참가 중인 무지개행동* 주관으로, 2025년 7월 22일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내란 옹호-성소수자 혐오 국민통합비...
기간 : 7월
[181호][활동보고] 2025년 상반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5년 상반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5년 상반기가 지나고, 어느새 7월을 마감하고 있습니다. 내란 종식을 위한 윤석열 퇴진운동으로 시작한 2025년이기도 ...
기간 : 7월
[활동스케치 #1] 인권활동가대회 후기 지난 7월 18~19일 인권활동가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친구사이 사무국 3인도 참여했는데요. 성소수자 인권을 포함해 정말 ...
기간 : 7월
[181호][활동스케치 #2] 학술대회 후기 : 문란하고 난잡한 돌봄으로 우리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활동스케치 #2] 문란하고 난잡한 돌봄으로 우리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 2025 한국성소수자/퀴어연구학회 학술대회 ‘게이남성 돌봄이 위치한 다층적 풍경&...
기간 : 7월
[181호][활동스케치 #3]『퀴어 디플로머시』공부 모임 및 북토크 참여 후기
[활동스케치 #3] 『퀴어 디플로머시』공부 모임 및 북토크 참여 후기 윤석열의 계엄 여파로 사회가 술렁이던 올해 1월 초,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
기간 : 7월
bothbest
https://jamaicaclassifiedonline.com/home-office/decorations/why-n-type-modules-are-leading-the-ch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