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1월 | 
|---|


《흘리는 연습》
— 1994년부터 시작된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소식지를 돌아보며
▶ 일시: 2025.02.07.— 02.16.
▶ 12:00 — 21:00 (휴무일 없음, 일정 참고)
▶ 장소: 윈드밀 (용산구 원효로13, 지하 2층)
⠀
서문
처음 적힌 흔적을 들여다봅니다. 남자와 남자의 성적 활력에서 출발했다는 이야기처럼, 곳곳에 흘려 둔 매력들을 알게 됩니다. 욕망은 우리를 좌절하게 하지만 동시에 친구로 만들며, 사랑이 이루어지든 어긋나든 우리는 자세를 다시 잡고 우리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함께 흘린 눈물과 시간의 흐름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자 ‘친구사이’의 눈길은 밖으로 흘렀습니다. 나보다 앞서 있던 남자들은, 자신 뒤에 올 사람들을 위해 길을 넓히고 있었습니다. 이 전시를 준비하며 우리는 30년간의 기록 속에서 끊임없이 ‘잘 흘리는 삶’을 발견했고, 이를 통해 미래를 직조할 수 있도록 ‘흘리는 연습’을 시도하고자 합니다.
* 기록을 오랫동안 매만지던 역사학자는 여러 사람들의 경험을 물으며, 수많은 자료를 따라갈 수 있도록 분류했습니다. 감정의 아카이브/일상을 유지하는 힘/사랑을 둘러싼 정념/세상에 선보이기/얼떨결에 어울리기/미래에 대한 열병이 그 갈래입니다. 많은 사람이 사회적 기억과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그에게 북극성이 되어줄 여섯 장의 사진을 요청했습니다.
** 한 미술가는 자신을 성소수자로 감지하고서야 밀려오는 기록들이 버거웠습니다. 과거란 실로 거대하고도 애틋한 시공간이어서, 그대로 쌓이거나 망각하게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내 잘 기억하기 위해서는 잘 망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확신했고, 어처구니 없는 연표를 구상했습니다. 또한 막막함 속에서 길을 찾아주는 등대를 피웠습니다.
*** 소식지가 내용의 유산일 뿐만 아니라, 디자인 형식의 유산이라 여기는 북디자이너는 2001년 하반기부터 2003년 상반기에 온라인으로 발행된 기사가 유실된 사실을 곱씹었습니다. 그는 종종 미래의 출판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자문했지만, 존재양식의 유약함을 고민할 때마다 조급해지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결국 많은 사람을 엮은이, 소장자, 퀴어 출판의 동료가 되게끔 만들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 침대에 누워서 소식지를 읽던 번역가이자 출판 발행인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자신처럼 게이가 아니지만 퀴어 출판을 하는 사람들에게 이 기록들의 의미가 무엇일지 상상했습니다. 학습하듯 꼼꼼히 챙겨읽는 사람이든 소식지 글을 출처미상의 상태로 보게 된 사람이든, 오래 머금게 되는 말 한 마디가 퀴어 출판을 재생산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들을 찾아갔습니다.
‘잘 흘리는 내일’을 기대하며 각자의 연습을 둘러볼 때, 우리는 다시금 전시장에 깔린 어둠을 응시하기로 약속합니다. 등대를 켜겠다던 한 미술가의 말은 수많은 사람이 엮었던 글과 미처 챙겨오지 못한 기록을 더듬거리고 있습니다. 등대를 되새기던 누군가는 자신을 알리는 또다른 빛을 우리에게 쏘아주리라 기대합니다.
친구사이 소식지
1994년부터 발행된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소식지는 ‘한국인으로 구성된 최초의’ 동성애자인권단체 초동회의 소식지를 이어받았다. 당시에는 비범한 의지나 전문적인 체계가 친구사이 소식지를 이끄는 동력이 아니었다. 많은 성소수자가 일상적 삶에서 억눌린 정체성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숨통이 트이게 돕는 환기구의 역할이 연속간행물의 주목적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1994년 2월 7일에는 초동회가 친구사이와 끼리끼리(현 한국레즈비언상담소)로 분리‧발족했고, 같은 해 3월 친구사이가 첫 소식지를 발간하였다.
이번 전시 《흘리는 연습》에서는 1993년부터 2024년까지 친구사이 소식지에 기록된 2,240편의 글 중, 145건을 선정하여 6가지의 분류기준에 따라 웹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중 32건의 기사는 원본을 재인쇄하여 전시장에서 종이 자료로 열람할 수 있다. 아마추어 비전공자들의 출판이 사람을 모으고 정보를 공유했던 방식을 ‘흘리기’라고 칭하듯 관객들은 흘리는 일에 숙련될 수밖에 없었던 소식지의 변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기획/글: 박민영
협력기획: 김대현, 남선미, 심기용, 이경민, 이종걸
자료제공: 친구사이 소식지팀
공간 디자인: naca (김혜정)
포스터 디자인: 이경민
번역: 한윤하
후원: 서울문화재단
▶ 연혁 정리:
1994년-2014년 5월 연혁| 20주년사 정리
2014년 5월-2024년 12월 연혁| 이종걸 정리
▶ 아카이브 테이블, 32개의 글:
글 선정 및 분류| 김대현, 심기용
인쇄물 디자인| 이주현
⠀
▶ 김대현, 〈별 별 별 별 별 별〉 협력:
기획 제안| 박민영
편집•제작 도움| 임다울
⠀
▶ 남선미, 〈기록 너머의 연대〉 협력:
인터뷰이| 연혜원(퀴어매거진 them), 곽예인(우프), 철민(플래그페이퍼), 규환(에디터, 전 친구사이 소식지 팀원)
⠀
▶ 박민영, 〈글레이즈드 사각 언니〉 협력:
인터뷰이| 기용, 슈가, 윤우, 일지, 진수, 현우
촬영감독| 이도현
작곡가| Arexibo (아렉시보)
음악 마스터링| 이정건(INDYM)
3D 그래픽| 김희경
⠀
▶ 박민영, 〈어둑서니〉 연작 협력:
금속공예가| 이우연, 이재호, 김승현
⠀
▶ 이경민, 〈친구사이 소식지 - 흘리는 연습판〉 협력:
글 선정| 김대현
개발 및 디자인| 김괜저
⠀
▶ 공연 및 행사:
시상식| 무지개인권상
낭독극| 언니의 분장실
게릴라 공연| 지보이스
수어 통역| 한국농인LGBT+
※ 오프닝 리셉션과 시상식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몇몇 행사에 따라 전시가 운영되지 않는 시간이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행사일정은 두 번째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 휠체어 접근이 가능합니다. 입구는 완만한 경사로이며, 전시장에는 단차가 없습니다. 출입 동선은 엘리베이터만을 이용합니다.
※ 전시장에는 감상을 돕고, 대체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시지킴이가 상주하고 있습니다. 필요하신 경우 현장에서 문의해주세요.
[183호][알림] 친구사이 x <RUN/OUT>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2 (10.24.)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2 지금, 질문을 던집니다. “한국에서 정치에 도전하는 커밍아웃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상상해본 적 있나요?&rdqu...
기간 : 9월
[182호][이달의 사진] 게이들은 누구를 왜, 어떻게 돌보고 살았을까
2023년부터 가족구성권연구소에서 진행된 게이남성돌봄 연구의 최종보고서 『게이들은 누구를 왜, 어떻게 돌보고 살았을까 : 게이 남성 돌봄과 퀴어생존의 생태...
기간 : 8월
[182호][활동보고] 왓츠인마이백 : 친구사이, 다음 30년은 당신과 함께
왓츠인마이백 : 친구사이, 다음 30년은 당신과 함께 안녕하세요, 친구사이 상근활동가 기용입니다. 종걸 사무국장께서 8월 안식월이시기 때문에, 이번 활동보고...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1] RUN/OUT: 서로 다른 정치를 엮어내는 힘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1] RUN/OUT: 서로 다른 정치를 엮어내는 힘 성소수자 인권운동이 시작된 지 3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정치 진입의 구...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2] RUN/OUT: 참가자 후기 - 사적인 것이 정치가 된 순간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2] RUN/OUT: 참가자 후기 - 사적인 것이 정치가 된 순간 친구사이 8월 정기모임은 <이렇게 된 이상 국회로 간다>라는 주제로 열...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3] RUN/OUT: 한국 정치의 벽을 무너뜨리다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3] RUN/OUT: 한국 정치의 벽을 무너뜨리다 RUN/OUT: Breaking Down Barriers in Korean Politics 한국 정치 지형 속 성소수자...
기간 : 8월
[182호][활동스케치 #1]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한 <은수저> 선물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한 <은수저> 선물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해 <은수저> 선물로 마음을 모았습니다. 작년 10월부터 혼인평등소송을 시작...
기간 : 8월
[182호][활동스케치 #2] 말 걸기, 숨쉬기 — 친구사이·마음연결 프라이드 엑스포 후기
말 걸기, 숨쉬기 — 친구사이·마음연결 프라이드 엑스포 후기 지난 8월 23-24일, 주말 이틀 동안 사무국과 친구사이의 성소수자자살예방프로젝트 &l...
기간 : 8월
[182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50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 문집 합평 이야기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50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 문집 합평 이야기 : 할레드 호세이니, 왕은철 옮김, 『연을 쫓는 아이』, 현대문학, 2022[2...
기간 : 8월
[182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50 : 2025 정기공연 <Why We Sing>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50 : 2025 정기공연 <Why We Sing> 1. 2025 지보이스 정기공연 : Why We Sing 일시 : 2025년 10월 19일(일) 오후 6시 장소 : 양천구...
기간 : 8월
[182호][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0 : 온누리가 사내연애, <3670>
[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0 : 온누리가 사내연애, <3670> ▲ 박준호 감독, <3670>(2025) 서울의 게이커뮤니티 종로·이태원은 만인이 만인에게 식되...
기간 : 8월
친구사이 2025년 7월 재정보고 *7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12,203,405 일시후원: 17,264,300 사업 교육사업 : 1,480,000 마음연결(민관협력사업): 5,319,2...
기간 : 8월
친구사이 2025년 7월 후원보고 2025년 7월 정기후원: 637명 2025년 7월 신규가입: 4명 7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서정현, 강진우, 함용길, 이현우 (총 4명) 증액...
기간 : 8월
[182호][알림] 친구사이 x <3670> 종로3가 GV 상영회
친구사이 x <3670> 종로3가 GV 상영회 종로3가의 게이를 담은 <3670>, 종로3가에서 게이들이 상영하다 ★ 영화 관람 후 관객과의 대화 진행 Host : 망원댁TV 킴 ,...
기간 : 8월
[182호][알림] 친구사이 x <RUN/OUT>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1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1 지금, 질문을 던집니다. “한국에서 정치에 도전하는 커밍아웃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상상해본 적 있나요?&rdqu...
기간 : 8월
[181호][이달의 사진]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온 내란 옹호와 성소수자 혐오
친구사이가 2007년 이래 연대 단체로 참가 중인 무지개행동* 주관으로, 2025년 7월 22일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내란 옹호-성소수자 혐오 국민통합비...
기간 : 7월
[181호][활동보고] 2025년 상반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5년 상반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5년 상반기가 지나고, 어느새 7월을 마감하고 있습니다. 내란 종식을 위한 윤석열 퇴진운동으로 시작한 2025년이기도 ...
기간 : 7월
[활동스케치 #1] 인권활동가대회 후기 지난 7월 18~19일 인권활동가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친구사이 사무국 3인도 참여했는데요. 성소수자 인권을 포함해 정말 ...
기간 : 7월
[181호][활동스케치 #2] 학술대회 후기 : 문란하고 난잡한 돌봄으로 우리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활동스케치 #2] 문란하고 난잡한 돌봄으로 우리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 2025 한국성소수자/퀴어연구학회 학술대회 ‘게이남성 돌봄이 위치한 다층적 풍경&...
기간 : 7월
[181호][활동스케치 #3]『퀴어 디플로머시』공부 모임 및 북토크 참여 후기
[활동스케치 #3] 『퀴어 디플로머시』공부 모임 및 북토크 참여 후기 윤석열의 계엄 여파로 사회가 술렁이던 올해 1월 초,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
기간 : 7월
bothbest
https://jamaicaclassifiedonline.com/home-office/decorations/why-n-type-modules-are-leading-the-ch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