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12월 | 
|---|
내 맘 같지 않은 사람 사이의 김대리 EP7
: 커밍아웃의 표정
인터뷰 속 아버지는 결의에 찬 표정을 하고 있었다. 성소수자를 자녀로 둔 <부모모임>은 세상의 편견에 맞서 함께 싸우려는 결연한 의지를 SNS를 통해 전달했다. 자식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인 흔적들이 영상 곳곳에 나타나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웃으며 서로를 부둥켜안았다, <천국에서 열린 벽장> 속 그들처럼. 우연히 발견한 부모모임 인터뷰 속 가족들은 우리가 꿈꿔온 이상적인 모습을 하고 있었다.
나도 커밍을 하긴 했다. 하지만 우리 가족의 모습이 그들과 같은 건 아니다. 오히려 저질렀다는 표현이 알맞을 지도 모른다. 미래가 불투명한 취업준비생 시절, 나를 자신의 미래라고 말하던 노모의 그늘에서 벗어나고파, 도망치듯 말했다. 나의 선언에는 단순히 남자를 좋아한다는 것만을 담은 것은 아녔다. 부모가 바라는 삶은 더는 살기는 어려우리라는 것과 남에게 숨 쉬듯 늘어놓던 자식 자랑은 이젠 못 하리라는 것이었다. 너울대는 혐오 속에서 스며든 패배감이, 가장 외로운 고백에도 여지없이 묻어나왔다.
 “내가 어릴 적에도 그런 사람이 있었다. 팬티에 양말을 넣고, 양복을 입고 다니는...."
다행히도 밀어내진 않으셨다. 이른바 양말부치에 대한 기억을 꺼내놓곤, 큰 문제는 아니라고 위로하며 우리는 황급히 선언식을 마쳤다. 몇 년이 지나, 어머니는 지보이스 공연을 보러 서울로 오셨고, 처음 두 곡을 듣곤, 흐느끼며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셨다. 그리고 돌아온 것은 총알받이 그만하고 남자나 만나서 행복하게 살라는 유언이었다. 그날 이후 우리는 커밍아웃에 대해서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그렇게 끝날 것만 같았던 커밍아웃에 대한 기억을 되살린 건 영화였다. <총알받이>의 유래는 내가 태어난 해의 사건을 다룬 영화 <1987>에서 찾을 수 있었다. 어렸을 적 옛 부산시청 자리를 지나가면 종종 군사 정권 시절 데모하는 학생들이 얼마나 처참히 짓밟혔는지에 대해 어머니는 말하곤 했었는데, 지보이스 속 나의 모습은 어머니 눈에는 <1987>의 학생과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민주화로 나아가기 위해 많은 아픔을 겪은 부모의 입에서 나온 숨어있으라는 말을 그저 비겁하다고만 할 수 없다. 30여 년이 흘렀지만 <나는 남자가 좋아요>라는 단말마가 모든 것을 해결해 주진 못하기 때문이다.
나의 커밍아웃은 얼굴은 있지만, 표정은 없다. 부모모임의 인터뷰처럼 환하게 웃지도, 어떤 비극처럼 울지도 않는다. 그저 덩그러니 얼굴만 그려놓은 채 그대로 두어버렸다. 걱정이 되어서, 아니면 이마저도 깨져버릴까봐 두려워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 나와 부모를 죽음이 갈라놓는 날이 온다면 엄마는 나를 어떤 모습으로 기억할까?

[102호][이달의 사진] 하늘엔 영광, 땅에는 차별금지법
2018년 12월 21일, 차별금지법제정연대와 무지개예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인권센터에서 주최하는 2018년 '축성탄,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거리 기...
기간 : 12월
올해 기억해야할 순간들 2018년 한 해가 저뭅니다. 친구사이는 올해에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에 맞서며 서로 연대하여 활동했습니다. 그 현장의 순간 모...
기간 : 12월
[102호][활동스케치 #1] 2018 친구사이 송년회 ‘수고했어 올해도’ 현장스케치
[활동스케치 #1] 2018 친구사이 송년회 ‘수고했어 올해도’ 현장스케치 지난 12월 15일 친구사이 송년회 ‘수고했어 올해도’가 마이크임팩...
기간 : 12월
[102호][활동스케치 #2] 2018 인권의 날 기념식 현장 스케치
[활동스케치 #2] 2018 인권의 날 기념식 현장 스케치 세계인권선언문 낭독하는 시민사회 대표들 세계인권선언 70주년 기념일인 1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
기간 : 12월
[102호][활동스케치 #3] 2018 친구사이 교육팀 프로그램 현장스케치 <어쩌다 수다회- 성소수자들에게 안락한 주거란 무엇일까?>
[102호][활동스케치 #3] 2018 친구사이 교육팀 프로그램 현장스케치 <어쩌다 수다회- 성소수자들에게 안락한 주거란 무엇일까?> 2018년 12월 6일 목요일, 친구사...
기간 : 12월
[102호][기획] <Seoul For All> #11 : 위치기반 빅데이터와 성소수자
[102호][기획] <Seoul For All> #11 : 위치기반 빅데이터와 성소수자 2018년 11월, KT 아현지사 화재로 인해 서울의 서대문구, 마포구, 중구, 용산구, 은평구를 ...
기간 : 12월
[102호][칼럼] 내 맘 같지 않은 사람 사이의 김대리 EP7 : 커밍아웃의 표정
내 맘 같지 않은 사람 사이의 김대리 EP7 : 커밍아웃의 표정 인터뷰 속 아버지는 결의에 찬 표정을 하고 있었다. 성소수자를 자녀로 둔 <부모모임>은 세상의 편...
기간 : 12월
※ 2018년 친구사이 11월 재정보고 *11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522,475 일시후원: 1,360,696 정기사업 친구사이 LT: 75,000 워크숍: 120,000 비정기사업...
기간 : 12월
[102호][알림] 2018 연말정산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사무국장 이종걸입니다. 2018년 한 해에도 친구사이 활동에 지속적인 지지와 후원을 보내주신 후원회원 분들께 진심...
기간 : 12월
[101호][이달의 사진] 해군 간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 무죄판결 규탄 기자회견
2018년 11월 26일, 레즈비언 여군에 대한 성폭력 사건 무죄판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국방부 앞에서 개최되었다. 피해자는 2010년 9월 근무하던 해군 함정에서...
기간 : 11월
[101호][활동보고] 2018년 아직 한 달이나 남았습니다!!
2018년 아직 한 달이나 남았습니다!! 11월 24일 2018년 친구사이 정기총회를 통해 2019년 대표와 감사가 선출되었습니다. 2019년 한 해 동안 대표직을 수행하게 ...
기간 : 11월
[101호][커버스토리 'HIV/AIDS' #1] 20년의 PL 커밍아웃 : 러브포원 대표 광서님 인터뷰 (1)
[커버스토리 'HIV/AIDS' #1] 20년의 PL 커밍아웃 : 러브포원 대표 광서님 인터뷰 (1) 1990년대 초 종로의 게이업소 1994년의 교통사고와 HIV 감염 확진 1...
기간 : 11월
[101호][커버스토리 'HIV/AIDS' #2] 20년의 PL 커밍아웃 : 러브포원 대표 광서님 인터뷰 (2)
[커버스토리 'HIV/AIDS' #2] 20년의 PL 커밍아웃 : 러브포원 대표 광서님 인터뷰 (2) 1990년대 초 종로의 게이업소 1994년의 교통사고와 HIV 감염 확진 ...
기간 : 11월
[101호][활동스케치 #1] 세계에이즈의 날 기념 가진사람들 첫 공식행사 '투'
[활동스케치 #1] 세계에이즈의 날 기념 가진사람들 첫 공식행사 '투'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 세계에이즈의 날을 기념하여 을지로의 시네마테크 서울아...
기간 : 11월
[101호][활동스케치 #2] 웹툰 <천국에서 열린 벽장> 북토크와 소식지
[활동스케치 #2] 웹툰 <천국에서 열린 벽장> 북토크와 소식지 지난 11월 16일 금요일, 친구사이 사정전에서 친구사이 웹툰 <천국에서 열린 벽장> 북토크가 있었습...
기간 : 11월
[101호][활동스케치 #3] 2018 친구사이 정기총회 현장 스케치
[활동스케치 #3] 2018 친구사이 정기총회 현장 스케치 지난 11월 24일 토요일 저녁 7시 30분 서울시립청소년수련관 지하 1층에서 2018 친구사이 정기총회가 열렸...
기간 : 11월
[101호][활동스케치 #4] HIV 감염인 故 오준수 님이 남긴 흔적과 흔적-없음 : 이강승 작가 전시, <Garden>
[활동스케치 #4] HIV 감염인 故 오준수 님이 남긴 흔적과 흔적-없음 : 이강승 작가 전시, <Garden> ▲ 이강승, "무제(이름들)", 네온, 15X280cm, 2018. 한국의 HIV...
기간 : 11월
※ 2018년 친구사이 10월 재정보고 *10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868,535 일시후원: 1,730,850 정기사업 지보이스 정기공연: 6,208,694 비정기사업 음원: ...
기간 : 11월
[101호][논평] 해군 간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은 명백한 성폭력 범죄, 성소수자 인권침해다.
[논평] 해군 간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은 명백한 성폭력 범죄이자, 성소수자에 대한 인권침해다. 무죄 판결한 고등군사법원 규탄한다! 지난 11월 8...
기간 : 11월
이란 질문에,
어떤 자녀는 부모가 절대 알아서는 안 되며, 당신 말은 폭력이라는 주장을 하는 경우도 있고,
어떤 부모는 정말 내가 사랑하는 자식에 대해서 모르고 죽는다면, 죽어서 눈을 감지 못할 것이다 라는 말씀 속에
어떤 차이와 교차하는 맥락이 있고, 실제로 서로 어떻게 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인지?
커밍아웃은 그렇게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성소수자들의 삶에 분명 중요한
키워드일 것 같아요.
각자의 삶에서 누군가에게 커밍아웃을 하고 수용을 받고 환영를 받은 과정은 꼭 필요한 일인데,
한 걸음 한 걸음, 실천해 나갔으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