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1월 | 
|---|
[소모임] 문학상상, 문학 한 숟갈
: 노년 여성이 그려내는 삶의 풍속화

천운영의 《반에 반의 반》은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종합선물세트 같은 소설집이었습니다. 느릿한 카메라 워킹으로 한 편의 풍속화를 보여주는 듯한 소설, 연애 예능처럼 여러 등장인물들의 상호작용과 각자의 인터뷰 장면을 전면에 내세운 소설, 인간의 보편성을 주제의식으로 전달하는 소설, 또는 주제의식 따윈 없이 재미 일변도의 소설, 옆에 있으면 짜증날 거 같지만 미워할 수 없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다루는 소설들이 실려있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이 모든 작품들을 관류하는 하나의 소재는 중년 혹은 노년의 여성입니다. 이는 작가의 말에서 밝혔듯이, 작가의 어머니가 더는 당신의 얘기를 해줄 수 없을 때, 대신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까닭일 것입니다. 이런 탓인지 소설에 나타나는 인물들에 대한 작가의 시선은 따스한 봄볕 같습니다.
제가 가장 깊은 맛을 느꼈던 소설은 수록된 작품 중 표제작인 <반에 반의 반>입니다. 이 작품은 소설 쓰기에 관한 글이고, 작가가 소설에서 한 인물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관해 고민한 흔적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작가는 평소 취재를 공들여 한 뒤에 소설을 쓴다고 합니다. 또한 어머니의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여 이 소설집이 탄생한 만큼, 인물을 어떻게, 또 인물의 이야기 중 어떠한 것까지 소설로서 집필해야 하는지에 관해 고민이 되었을 것입니다.
<반에 반의 반>은 작가인 ‘나’가 큰아버지의 전화를 받으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얼마 전 할머니의 제사 날에 친척들로부터 들었던 이야기들 중, 가족끼리 계곡에 놀러갔을 때 할머니가 옷을 다 벗고 물 속에서 놀았다는 내용을 소설로 쓰면 안 된다는 당부와 함께 갈비탕을 사줄 테니 한 번 들르라는 말을 합니다. 만나서 들은 큰아버지의 말은 할머니에 관한 특정한 내용을 꼭 쓰라는 당부의 연속이었습니다. 그 내용은 이렇습니다. 할머니의 자식들이 할머니에 관해 말하길, 가족들 밥은 굶겨도 떡은 지어서 먹어야 했던 양반이라고 했던 것에, 이것은 떡을 마을에 돌려 사람들의 인심을 얻어 장남을 죽음으로부터 구한 덕업이라고 해명합니다. 또한 할머니의 인심으로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얻은 것, 그러한 인심 좋은 행위는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기까지 지속되었다는 말을 참 열심히도 말합니다.
‘나’와 큰아버지는 갈비탕집으로 이동하여 갈비탕을 먹습니다. 큰아버지가 대접하는 갈비탕은 마구리뼈가 하나도 섞이지 않은 살코기만 있는 갈비탕이었습니다. 갈비탕은 한 인물이 소설로서 다뤄지는 방식의 상징입니다. 보기 좋고 먹기도 좋은 살코기만 있는 갈비탕. 혹은 마구리뼈가 섞여 살을 발라내며 먹어야 해서 조금은 불편하지만 뼈에서 우러난 진한 육수가 있는 갈비탕. 두 모습의 갈비탕 사이에서 ‘나’는 무엇이 더 맛있는 갈비탕인지 고민합니다. 내가 흠모하는 인물의 좋은 점만 그려내야 하는가, 아니면 조금 흉해 보일지 몰라도 인물의 인생을 더 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정제되지 않은 모습도 서술해야 하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인물을 그려내야 하는지 작가의 고민이 나타나는 대목이었습니다.
저는 작가가 할머니에 관해 쓰고 싶은 마음의 화신이 큰아버지라고 생각합니다. 큰아버지는 한 인물을 그려낼 때 인물 행동의 자세한 내막을 살펴야 한다는 태도를 보입니다. 그런 와중에 사람들에게 흉이 될만한 것은 숨기면서요. 가족들은 굶길지라도 주변에 떡을 돌려서 결국 가족을 구해내는 숭고한 정신에 주목하고, 기록하지 않으면 아무도 주목하지 않을 소소한 마음 씀씀이도 그려내라고 하지요. 마치 마구리뼈가 하나도 없는 살코기 갈비탕처럼 인물의 좋은 면만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것이죠. ‘나’는 작가정신의 화신입니다. ‘나’는 마구리뼈가 섞인 갈비탕이 더 감칠맛이 나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 소설에서는 작가정신이 한 인물을 흠모하여 좋은 점만 드러내고 싶은 마음에 승리합니다. 인물의 흉한 모습도 기꺼이 다루는 것이죠.
소설 마지막 부분에서 할머니는 친척들의 회상하는 장면을 통해 흰 속옷만 입고 계곡에 들어가 물장구를 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할머니의 몸은 비록 보기에 예쁘지 않을 수 있지만, 계곡 물에 쏟아지는 찬란한 햇살이 할머니에게로 가 비치듯 아름답게 묘사됩니다. 계곡물에서 물장구 치며 놀고 싶은 할머니의 아이 같은 욕망, 남들에겐 기이하게 보일 수 있는 할머니의 몸, 행동도 따뜻하게 그려냄으로써 인물의 서사에 감칠맛을 더한 것이죠. 마치 마구리뼈가 들어간 갈비탕처럼요. 이러한 작가정신의 승리는 이 소설집 전체에 영향을 줍니다. 누군가를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소설집이지만, 인물을 그려낼 때 좋은 점 뿐만 아니라 악한 면, 좀스러운 면, 손가락질 받을 만한 면도 고루 그려내서 인물과 인생에 깊이를 더하는 것이죠. 이 소설집의 표제작이 <반에 반의 반>인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보통의 소설집을 읽으면 실린 단편들이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을 받곤 합니다. 하지만 《반에 반의 반》은 놀이공원에 가서 롤러코스터를 타고, 회전목마를 타고, 범퍼카를 타듯이 전혀 다른 성격의 재미를 느낄 수 있었고, 작가의 유머도 한 스푼 더해져 읽는 내내 행복했습니다. 중년 혹은 노년의 여성들이 그려내는 유머가 담긴 삶의 풍속화를 감상하고 싶다면 읽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문학상상 / 조이
[181호][기고] 로뎀나무그늘교회, 친구사이 사정전을 떠나며
[기고] 사정전을 떠나며, 새로운 공간에서의 기대를 담아 로뎀나무그늘교회가 친구사이 사정전에 첫발을 내디뎠던 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2016년 9월, ...
기간 : 7월
[기고] 광장의 기준과 인사(人事) 나에게 다정해줘/ 안 그럼 죽어버릴 거야/ 아무도 구할 수 없음/ 움직일 수 없음/ 뱃속에서 마취된 몸에 팔다리가 생김/ 죽겠다...
기간 : 7월
[181호][칼럼] 내 불필요한 경험들 #10 : 출퇴근 귀농타령
[칼럼] 내 불필요한 경험들 #10 : 출퇴근 귀농타령 요즘은 가끔 귀농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퇴근하고 돌아와 저녁밥을 먹는 친구 건너에 앉아 간식을 주워먹으며...
기간 : 7월
친구사이 2025년 6월 재정보고 *6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6,674,328 일시후원: 23,667,720 사업 무지개인권상 : 2,004,082 마음연결 : 120,000 마음연결(...
기간 : 7월
친구사이 2025년 6월 후원보고 2025년 6월 정기후원: 633명 2025년 6월 신규가입: 23명 6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김태웅, 김보겸, 오창균, 아프, 이웅찬, 이민...
기간 : 7월
[181호][알림] 2025 친구사이 교육팀 하반기 프로그램 - 게이 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
2025 게이 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 ⚖️ 게이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이 열립니다! 게이법조회의 현직 변호사들이 알려주는 성소수자를 위한 법률 상식! 친구사이 ...
기간 : 7월
[180호][이달의 사진] 우리가 우리의 문화를 만들었다
2025년 6월 27일, 종로3가 소재 게이바 비바에서 '종로 프리즘 콘텐트 페스트'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지난 10여년간 게이커뮤니티의 페이스북, 인스...
기간 : 6월
[180호][활동보고] 할 일을 다하고 있는 자긍심의 달
할 일을 다하고 있는 자긍심의 달. 6월 3일 조기 대선으로 이재명 정부가 6월 4일 출범했습니다. 동성애가 인류의 지속 가능성에 해가 된다는 메시지로 혐오와 ...
기간 : 6월
[활동스케치 #1] 무지개연결 캠페인 참여해보셨나요? - '무지개연결 신림' 후기 신림 오신누를 아시나요? 신림 지역에서 오랜 기간동안 사랑 받고있는 ...
기간 : 6월
[180호][활동스케치 #2] 우리가 이긴다 - 혼인평등소송 원고들과 함께 한 6월 정기모임 후기
[활동스케치 #2] 우리가 이긴다 - 혼인평등소송 원고들과 함께 한 6월 정기모임 후기 친구사이 2025년 6월 정기모임은 한국의 혼인평등소송 원고 22명 중 네 분...
기간 : 6월
[180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9 : 천쓰홍, <귀신들의 땅>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천쓰홍, <귀신들의 땅> 작가는 귀신들의 땅이라는 소설을 왜 썼을까. 나는 이 책이 천쓰홍이라는 작가가 이 이야기를 뱉어내지 않...
기간 : 6월
[180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9 : 해외와 현장을 동시에 누비는 지보이스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9 : 해외와 현장을 동시에 누비는 지보이스 1. 6년만에 만난 친구들 지보이스는 6.13부터 6월 15까지 국제 아시아 합창제인 <Hand ...
기간 : 6월
[180호][기고] 대선의 시간, 광장의 미래 – 빛을 만들던 한 노동자를 기억하며
[기고] 대선의 시간, 광장의 미래 - 빛을 만들던 한 노동자를 기억하며 그는 누워서도 가끔 내 옆을 스친다./ 나와 함께 나무 꼭대기에 나란히 앉아 먼 불빛들을 ...
기간 : 6월
[180호][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7 : 축제, 선거 그리고 2025년 6월의 서울
[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7 : 축제, 선거 그리고 2025년 6월의 서울 < 사진 1. 2025년 6월의 서울 > 사실, 광장이라는 표현을 썩 좋아...
기간 : 6월
친구사이 2025년 5월 재정보고 *5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11,783,730 일시후원: 724,500 특별모금(기울어진책상): 1,656,324 사업 워크숍(육체미소동) : ...
기간 : 6월
친구사이 2025년 5월 후원보고 2025년 5월 정기후원: 612명 2025년 5월 신규가입: 4명 5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masa2000님, 박상현님, 조현광님, 김민우님 (총...
기간 : 6월
[180호][알림] 교양? 이게 내 교양이다 1탄 : 꽃꽂이 (꽃바구니만들기)
교양? 이게 내 교양이다 1탄 : 꽃꽂이 (꽃바구니만들기) 친구사이 회원지원팀에서 친구사이 회원 및 예비 회원을 대상으로 교양강좌를 개설했습니다. "꽃은 말이...
기간 : 6월
[179호][이달의 사진] 게이커뮤니티의 살림, 친구사이의 살림
2025년 5월 31일 저녁, 5월 친구사이 정기모임이 사정전에서 개최되었다. 이 날의 정기모임에서는 친구사이 재정 및 후원 현황을 점검하고, 상근활동가 3인 체제...
기간 : 5월
5월의 장미를 보셨나요? 지난 5월 17일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BIT)에 친구사이는 예년처럼 낙원동 포차거리에 이 날을 기념하는 현수막을 게시했습...
기간 : 5월
[179호][커버스토리 "21대 대선" #1] 무지개행동 논평 : 성소수자 평등 실현하는 국정 운영을 촉구한다
[논평] 성소수자 평등 실현하는 국정 운영을 촉구한다. - 이재명 대통령 당선과 새 정부 출범을 맞이하며 12.3 내란 사태 이후 꼬박 반 년 만에 치뤄진 조기 대...
기간 :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