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4월 | 
|---|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39
: 노희경 에세이,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불의의 사고로 장애를 얻은 애인을 버리고 귀국한 딸은 사사건건 자기 인생을 쥐고 흔드는 엄마가 괜히 밉습니다. 아니, 괜히 미운 게 맞나? 딸의 인생은 엄마의 것입니다. 바람난 남편을 용서할 수 없어 삶을 버리기로 한 엄마는 그 전에 딸에게 농약 탄 야쿠르트를 먹이려 했습니다. 엄마는 딸을 언제든 죽일 수 있는 거구나. 왜냐하면 딸이 엄마의 것이니까. 딸은 그렇게 믿으며 살았습니다. 그런 엄마가 장애인과 만나지 말라고 했어요. 그러니 딸이 미치도록 사랑했던 애인을 버린 건 엄마 때문입니다. 엄마는 딸의 주인이고. 엄마가 장애인과 만나지 말라고 했으니까.
딸이 정말 미워했던 건 애인을 버리고 도망친 본인이었습니다. 하지만 그건 괜히 엄마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딸은, 엄마가 더는 딸의 인생에 끼어들지 못하도록 말해야 했습니다.
“엄마, 왜 나 죽이려고 했어?”
엄마는 탁자에 유리병을 깨고 잔해를 주먹으로 내리치면서 자해하는 딸을 더는 지켜볼 수 없습니다. 평생 털어놓지 않으려 했던 말을 입 밖으로 꺼내기로 하지요. 본인 없는 세상에 딸을 혼자 남겨둘 수 없었다고. 딸은 사실 어렴풋이 알면서 덮어놓고 살던 일을 굳이 끄집어냈습니다. 그래도 악다구니를 멈출 수 없습니다.
폭풍 같은 한 때가 지나가면 그저 오롯이 엄마 하나 딸 하나가 남아요. 진심들이 얼굴에 옷가지에 스며들어 서로의 눈에 밟힙니다. 그저 서로가 애틋하겠지요.
이제 엄마는 딸의 인생에 간섭을 줄이기로 했고. 딸은 애인에게 돌아가기로 합니다.
극본 노희경, ‘디어 마이 프렌즈’의 한 장면입니다.
****************************
그다지 유쾌하지 않지만 이해할 수 있는 사건 사이, 누구라도 한 번쯤 할 수 있는 일이었지만 차마 할 수 없었던 일을 하는 인물들이 있습니다. 장면들이 사람을 들었다 놨다 하면서 몇시간이나 붙들어 둡니다. 결국 앉은자리에서 한 편에 1시간이 넘는 드라마 몇 편을 뚝딱 보게 만들 정도로.
가끔 기억에 남은 장면이 생각나 찾아보다가, 하염없이 다음 편 다음 편을 계속 보게 됩니다. 이런 드라마를 만들기 위해서는 물론 많은 사람의 노력과 재능이 필요하지만, 빠질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어쩌면 근원이라고도 할 수 있는 “대본”입니다.
이런 인물, 이런 사건, 이런 대사는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책에서도 나오는 말이지만, 살면서 마주치는 어떤 일이든 작가에게는 양분이라 합니다. 그렇게 믿는 이 작가는 대체 어떤 것들을 마주치며 살아온 걸까요? 가끔 궁금하던 차에 얼떨결에 책읽당을 통해 읽게 된 책이었습니다. 이런 책이 있었다는 걸 왜 몰랐을까요? 여기 실린 문자들이 작가의 전부를 녹인 글귀들은 아니겠지만, 손바닥이나 발바닥 정도는 찍어낸 듯합니다.
에세이는 보통 길이가 짧아요. 그래서 몰입할 수 있는 긴 호흡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는 장르입니다. 하지만 작가에 대한 신뢰만 있다면 에세이야말로 온갖 생생한 것들의 집합입니다. 인간의 상상으로 만든 인위적인 것들이 아닌, 현실에서 꿈틀거리는 인간 본연의 모습이 온전히 담길 수 있습니다. 인간과 인간이 상상 이외에 하는 모든 일, 혹은 인간의 상상조차도 자연의 일부일 수 있다면, 아주 솔직하게 쓰여진 에세이는 자연이 쓴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제 생각에, 이 책은 그런 에세이의 매력을 실감할 수 있는 책이에요. 그만큼 작가의 인생의 일부가 솔직하게 기록된 듯합니다. 필력으로 포장이야 했을 테지만, 꽃의 빛깔이 예쁘다고 그걸 꾸몄다 탓할 수야 없는 노릇이 아닐까요?
오래 전에 적은 글을 나중에 다시 보고 변한 생각과 변하지 않은 생각을 되짚어보는 구성도 재미있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그것이 성장인지 퇴보인지 판단하는 것 마저도 어쩌면 오만일지도 모릅니다. 그저 변하는 것. 그 때 그 때 필요한 것을 찾는 것. 옳다고 믿는 것을 행하는 것. 변하고 적응하는 것은 모든 생각하는 것들의 본성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이 책을 자연이 적었다면, 당연히 그런 모습이 있어야 하겠지요? 다행히 이 책엔 그런 부분이 종종 보입니다.
그 때 그 드라마의 어떤 인물이 이런 말을 하던데, 어쩌면 작가가 이런 일을 겪고 이런 생각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대사를 썼나 보다… 하는 부분이 잠깐 잠깐 스쳐 지나갔는데, 메모를 해두지 않아 적을 수가 없네요. 작가의 드라마의 대사를 줄줄 외울 정도로 아끼는 분이 보신다면 분명 이런 재미를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인터넷에서는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라는 제목에 분노하거나, 자조하거나, 그런 사람들을 조롱하기 위해 여기저기 게시물에 첨부되어 돌아다녔기 때문에 이런 제목의 책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노희경 에세이 모음인 줄은 몰랐습니다. 그만큼 제목이 힘이 있습니다. 저 같은 이들은 그저 제목에만 매몰되어 독서까지 이어지지 않았던 모양이지만요. 이제라도 읽을 수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이번 책을 읽고 모인 분들도 제목 이야기를 많이 하셨어요. 책을 다 읽은 지금은 왜 이 꼭지가 표제작처럼 되었는지 의문이나, 제목에만 매몰되었던 그 때의 감성으로 우스개 하나 던져놓고, 쓸데없이 긴 글을 줄이겠습니다.
“못 하는 것도 서러운데 유죄라니. 그렇다면 자수할 테니 형량이라도 줄여주시오!”


책읽당 당원 / 황이
[178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7 : 뮤직캠프 <나는 OOO>/ <연극연습프로젝트 : 29길>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7 : 뮤직캠프 <나는 OOO>/ <연극연습프로젝트 : 29길> 매년 돌아오는 지보이스의 연례행사인 뮤직캠프 <나는 OOO>을 성황리에 마무...
기간 : 4월
[178호][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6 : 그렇게, 불안(정)(함)과 함께 살아가는 나날
[178호] [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6 : 그렇게, 불안(정)(함)과 함께 살아가는 나날 ■ 오랜 친구들과의 대화 지금 나에겐 10년 넘게 매달 만...
기간 : 4월
친구사이 2025년 2월 재정보고 *3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028,114 일시후원: 2,501,000 사업 기타사업 : 1,186,140 마음연결 : 40,000 기타 사정전 대...
기간 : 4월
친구사이 2025년 3월 후원보고 2025년 3월 정기후원: 613명 2025년 3월 신규가입: 6명 3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오준호님, 김시은님, 윤영권님, 이신님, 고고씽...
기간 : 4월
[178호][알림] 친구사이 오픈테이블 <HIV를 둘러싼 다양한 ' □□□ ' 를 이야기하는 모임 > 5월모임
<친구사이 커뮤니티 사귐 프로젝트> 친구사이 오픈테이블 <HIV를 둘러싼 다양한 ' □□□ ' 를 이야기하는 모임 > 5월모임 친구사이 오픈테이블에서는 게이...
기간 : 4월
[178호][알림] 특별모금: 친구사이 사정전 기울어진 책상 바로잡기
“이젠 안녕…!” 12년 된 사정전 테이블 교체를 위한 특별모금에 함께해주세요! 혹시 알고 계셨나요? 친구사이 사정전의 테이블은 10년이 넘은...
기간 : 4월
2025년 3월 29일 오후 5시, 광화문 앞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3월 친구사이 정기모임이 개최되었다. 친구사이 정기모임은 정회원 유지 자격의 기준이 되는 ...
기간 : 3월
[177호][활동보고] 이제는 평등의 봄을 우리가 만들어야겠습니다.
이제는 평등의 봄을 우리가 만들어야겠습니다. 봄이 더디게 옵니다. 일교차가 심합니다. 대형산불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희생된 분들과 사랑하는 ...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윤석열 파면" #1] 친구사이 성명 : 혐오수괴 윤석열의 파면을 환영한다.
[성명] 혐오수괴 윤석열의 파면을 환영한다. 오늘 헌법재판소는 전원일치된 의견으로 윤석열을 대통령직에서 파면했다. 헌법재판소가 판결문에 명시했듯, 내란을...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윤석열 파면" #2] 무지개행동 성명 : 오늘의 승리를 시작으로 새로운 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자
[성명] 오늘의 승리를 시작으로 새로운 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자 우리가 승리했다! 오늘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윤석열 파면 결정으로, 주권자 시민은 마침내 내...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4] 흘리는 연습, 나와 나 사이의 거리에서
[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4] 흘리는 연습, 나와 나 사이의 거리에서 친구가 되기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상대가 필요하다. 나와 나가 친해지기에도 연습이 필...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5] 그(들)이 흘리는 갈래_친구사이 기획전 《흘리는 연습》
[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5] 그(들)이 흘리는 갈래_친구사이 기획전 《흘리는 연습》 전시회 감상평을 기고해주신 오어진 님은 시각예술 연구자입니다. 종교...
기간 : 3월
[177호][활동스케치] 친구사이 활동을 하는 트랜스젠더가 존재한다고?
[활동스케치] 친구사이 활동을 하는 트랜스젠더가 존재한다고? 그렇다. 놀랍게도 현재 트랜스젠더는 친구사이 내에서 게이 구성원과 활동하고 있다. 나는 현재 ...
기간 : 3월
[177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6 :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 유키사다 이사오, <궁지에 몰린 쥐는 치즈 꿈을 꾼다>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6 : 2025년 2월,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물고기의 비늘에 바다가 스미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시간이...
기간 : 3월
[177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6 : 지금도 연습 중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6 : 지금도 연습 중 지보이스는 지난 2월 친구사이의 소식지 전시회 <흘리는 연습>에서 게릴라 공연 <지금도 연습 중>으로 함께 참...
기간 : 3월
[177호][기고] Mardi Gras in Sydney, 도시 전체가 무지개 빛으로 물들다
[기고] Mardi Gras in Sydney, 도시 전체가 무지개 빛으로 물들다 본 글은 2023년과 2025년, 시드니 마디그라(Sydney Mardi Gras) 축제에 참여한 참관기입니다. ...
기간 : 3월
친구사이 2025년 2월 재정보고 *2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047,718 일시후원: 551,000 사업 김대리는티가나 : 240,000 기타사업 : 399,000 기타 사정전 ...
기간 : 3월
2025년 친구사이 2월 후원보고 2025년 2월 정기후원: 609명 2025년 2월 신규가입: 4명 2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이동현님, 햇볕한줌님, 박동혁님, 윤지호님 (총...
기간 : 3월
[177호][알림] 친구사이 4월 정기모임 – 봄맞이 실내 운동회〈친구사이 육체미 소동〉
친구사이 4월 정기모임 – 봄맞이 실내 운동회 〈친구사이 육체미 소동〉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는 4월 정기모임으로 ‘봄맞이 실내 운동회&r...
기간 : 3월
[177호][알림] 친구사이, 약물사용자와함께하는사람들 집담회
<친구사이, 약물사용자와함께하는사람들 집담회> ‘약물’은 이미 우리 곁에 존재하고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간혹 집요하게 이 문제를 ...
기간 :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