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11월 |
---|
[활동스케치 #2]
"김대리는 티가 나" 북토크(11.16.) 후기
11월 16일 토요일, 친구사이 소식지팀은 아론 팀원의 칼럼집 "김대리는 티가 나"(친구사이, 2024)의 북토크를 진행하였습니다.
소식지팀은 행사 시각 2시간 전인 오후 2시부터 친구사이 사무실에 모였습니다. 월례 팀 회의를 빠르게 마치고 곧장 북토크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사회를 맡은 소식지팀장 터울은 평소 소식지팀의 회의 자료보다 몇 페이지 두꺼운 종이를 나누어 주었습니다. 전날 "김대리는 티가 나"를 다시 읽으며 책 내용을 근거로 엮은 대화 주제의 순서였습니다.
(왼쪽 : 원래 책의 목차 / 오른쪽 : 북토크 순서지)
두 목차가 같은 책의 내용을 엮은 것이라고 느껴지시나요? 책을 처음 엮을 때도 아무렇게나 목차를 만들지는 않았을텐데, 새로운 관점으로 들여다보니 전혀 다른 책이라고 느껴질 정도의 목차가 뚝딱 나왔습니다. 그만큼 아론의 글은 한 마디 말에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는 맛이 있었습니다. 터울의 새로운 목차로 토크의 흐름을 쭉 점검한 뒤, 자리를 세팅하고 커피와 도넛을 정성스럽게 준비하였습니다.
북토크에는 2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이번 북토크에는 일상에서 게이임을 은폐하는 것이 익숙한 분들이 많이 오시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책의 내용이 보수적인 남초 회사에서 10년 간 버티고 있는 게이의 삶인 만큼, 퀴어력이 매우 낮은 일상을 살고 있는 분들에게 가서 닿을 이야기가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람들을 부르는 말이 은둔이든, 일틱이든, 혹은 이리저리 시달려서 "멀쩡해진" 사람이든, 여하간 많이 오시기를 바랐습니다.
준비한 순서대로 북토크가 이어졌습니다. 사뭇 진지한 분위기에서 시작했으나, 아론 님은 과거 북토크 진행을 경험해본 사람답게 텐션이 떨어지면 바로 웃긴 얘기를 던지며 활기차게 치고 나갔습니다. 주로 '남성 + 직장인 + 동성애자'의 일상에서 발생하는 부조화의 이야기가 이어졌습니다. 머뭇거리게 되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이러한 일상의 머뭇거림을 아는지 모르는지, 인권 친화적이라는 회사의 "ESG" 경영이 왜 나의 피부에는 와서 닿지 못하는지도 함께 이야기하였습니다.
아론 님은 시종일관 솔직했습니다. 굳이 자랑할 것도 아니지만 애써 숨길 것도 아닌 자신의 마음을 덤덤하게 풀어놓았습니다. 자신보다 '더 좋은 룸싸롱'을 간 신입 남자 후배에 대한 불타는 질투심을 다룬 글을 이야기하며 당시의 상황과 마음을 숨기지 않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게이라는 포지션을 활용하여 승진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굳이 기회를 놓치지는 않겠다는 야망도 밝혀주었습니다. 이를테면 회사가 ESG 경영의 모범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동성애자 관리자'를 필요로 하는 경우, 기꺼이 그 자리에 가겠다는 것입니다. 그 대가로 공개 커밍아웃을 해야겠지만, 아론은 그런 제안조차도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당당히 말했습니다. (요즘의 상황을 보면 그나마 하던 ESG도 온데간데 사라지긴 해서 요원한 상상이지만 말입니다.) 우리가 다양성을 담당하기 위해 사는 것은 아니지만, 나로 인해 어떤 구색이 맞춰지고 그로 인한 보상이 주어진다면 그 자리를 굳이 피할 이유는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의 "티"는 무엇인가요?' 라는 주제로 청중들의 이야기를 듣고, 질의와 응답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티가 날까 조심스러워 직장에서 오늘도 힘겨운 직장생활을 견디고 계신 모든 게이, 모든 퀴어들을 응원합니다.
[181호][기고] 로뎀나무그늘교회, 친구사이 사정전을 떠나며
[기고] 사정전을 떠나며, 새로운 공간에서의 기대를 담아 로뎀나무그늘교회가 친구사이 사정전에 첫발을 내디뎠던 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2016년 9월, ...
기간 : 7월
[기고] 광장의 기준과 인사(人事) 나에게 다정해줘/ 안 그럼 죽어버릴 거야/ 아무도 구할 수 없음/ 움직일 수 없음/ 뱃속에서 마취된 몸에 팔다리가 생김/ 죽겠다...
기간 : 7월
[181호][칼럼] 내 불필요한 경험들 #10 : 출퇴근 귀농타령
[칼럼] 내 불필요한 경험들 #10 : 출퇴근 귀농타령 요즘은 가끔 귀농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퇴근하고 돌아와 저녁밥을 먹는 친구 건너에 앉아 간식을 주워먹으며...
기간 : 7월
친구사이 2025년 6월 재정보고 *6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6,674,328 일시후원: 23,667,720 사업 무지개인권상 : 2,004,082 마음연결 : 120,000 마음연결(...
기간 : 7월
친구사이 2025년 6월 후원보고 2025년 6월 정기후원: 633명 2025년 6월 신규가입: 23명 6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김태웅, 김보겸, 오창균, 아프, 이웅찬, 이민...
기간 : 7월
[181호][알림] 2025 친구사이 교육팀 하반기 프로그램 - 게이 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
2025 게이 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 ⚖️ 게이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이 열립니다! 게이법조회의 현직 변호사들이 알려주는 성소수자를 위한 법률 상식! 친구사이 ...
기간 : 7월
[180호][이달의 사진] 우리가 우리의 문화를 만들었다
2025년 6월 27일, 종로3가 소재 게이바 비바에서 '종로 프리즘 콘텐트 페스트'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지난 10여년간 게이커뮤니티의 페이스북, 인스...
기간 : 6월
[180호][활동보고] 할 일을 다하고 있는 자긍심의 달
할 일을 다하고 있는 자긍심의 달. 6월 3일 조기 대선으로 이재명 정부가 6월 4일 출범했습니다. 동성애가 인류의 지속 가능성에 해가 된다는 메시지로 혐오와 ...
기간 : 6월
[활동스케치 #1] 무지개연결 캠페인 참여해보셨나요? - '무지개연결 신림' 후기 신림 오신누를 아시나요? 신림 지역에서 오랜 기간동안 사랑 받고있는 ...
기간 : 6월
[180호][활동스케치 #2] 우리가 이긴다 - 혼인평등소송 원고들과 함께 한 6월 정기모임 후기
[활동스케치 #2] 우리가 이긴다 - 혼인평등소송 원고들과 함께 한 6월 정기모임 후기 친구사이 2025년 6월 정기모임은 한국의 혼인평등소송 원고 22명 중 네 분...
기간 : 6월
[180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9 : 천쓰홍, <귀신들의 땅>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천쓰홍, <귀신들의 땅> 작가는 귀신들의 땅이라는 소설을 왜 썼을까. 나는 이 책이 천쓰홍이라는 작가가 이 이야기를 뱉어내지 않...
기간 : 6월
[180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9 : 해외와 현장을 동시에 누비는 지보이스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9 : 해외와 현장을 동시에 누비는 지보이스 1. 6년만에 만난 친구들 지보이스는 6.13부터 6월 15까지 국제 아시아 합창제인 <Hand ...
기간 : 6월
[180호][기고] 대선의 시간, 광장의 미래 – 빛을 만들던 한 노동자를 기억하며
[기고] 대선의 시간, 광장의 미래 - 빛을 만들던 한 노동자를 기억하며 그는 누워서도 가끔 내 옆을 스친다./ 나와 함께 나무 꼭대기에 나란히 앉아 먼 불빛들을 ...
기간 : 6월
[180호][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7 : 축제, 선거 그리고 2025년 6월의 서울
[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7 : 축제, 선거 그리고 2025년 6월의 서울 < 사진 1. 2025년 6월의 서울 > 사실, 광장이라는 표현을 썩 좋아...
기간 : 6월
친구사이 2025년 5월 재정보고 *5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11,783,730 일시후원: 724,500 특별모금(기울어진책상): 1,656,324 사업 워크숍(육체미소동) : ...
기간 : 6월
친구사이 2025년 5월 후원보고 2025년 5월 정기후원: 612명 2025년 5월 신규가입: 4명 5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masa2000님, 박상현님, 조현광님, 김민우님 (총...
기간 : 6월
[180호][알림] 교양? 이게 내 교양이다 1탄 : 꽃꽂이 (꽃바구니만들기)
교양? 이게 내 교양이다 1탄 : 꽃꽂이 (꽃바구니만들기) 친구사이 회원지원팀에서 친구사이 회원 및 예비 회원을 대상으로 교양강좌를 개설했습니다. "꽃은 말이...
기간 : 6월
[179호][이달의 사진] 게이커뮤니티의 살림, 친구사이의 살림
2025년 5월 31일 저녁, 5월 친구사이 정기모임이 사정전에서 개최되었다. 이 날의 정기모임에서는 친구사이 재정 및 후원 현황을 점검하고, 상근활동가 3인 체제...
기간 : 5월
5월의 장미를 보셨나요? 지난 5월 17일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BIT)에 친구사이는 예년처럼 낙원동 포차거리에 이 날을 기념하는 현수막을 게시했습...
기간 : 5월
[179호][커버스토리 "21대 대선" #1] 무지개행동 논평 : 성소수자 평등 실현하는 국정 운영을 촉구한다
[논평] 성소수자 평등 실현하는 국정 운영을 촉구한다. - 이재명 대통령 당선과 새 정부 출범을 맞이하며 12.3 내란 사태 이후 꼬박 반 년 만에 치뤄진 조기 대...
기간 :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