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6월 |
---|
자긍심의 달. 다들 너무 애쓰셨습니다.
자긍심의 달이 끝났습니다. 그 어느 때 못지않게 다양한 행사들이 있었습니다.
6월 1일 서울퀴어문화축제가 시작이었습니다. 친구사이X큐사인 차량 행렬과 함께 신나게 케이팝 음악에 춤추며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외쳤고, 퀴어들의 산책모임은 첫 퀴퍼 행진을 잘 마쳤습니다. 6월 5일 언니네트워크와 함께 도합 50주년(언니네트워크 20년+친구사이 30년)을 기념하는 파티 ‘퀴어대환장파티’를 주최했습니다. 여러 퀴어들이 이렇게 같이 놀아본 것이 몇 년만인가 싶다는 후기들이 많았습니다. 6월 7일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North London Collegiate School Jeju) 초청으로 제가 강연을 진행했고, 8일에는 5년만에 열린 퀴어풍물패 ‘바람소리로담근술’ 공연에 초대받았습니다. 6월 12일에는 영국대사관에서 주최하는 프라이드먼스 행사에, 6월 15일에는 퀴어부부네트워킹파티에 참석했고, 6월 23~30일 사이 7일간 진행된 마포동네퀴어위크2024에 공동주관으로 참여했습니다.
▲ 06.20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퀴어 연대 선언 발표 기자회견에서 (사진제공: Studio R)
중요한 논의도 있었습니다. 5월 중 소수자난민인권네트워크에서 제안하여, 서울인권영화제,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HIV/AIDS인권행동 알이 같이 모여, 6월 자긍심의 달과 20일 난민의 날을 맞아 팔레스타인의 연대와 지지를 보내며 함께 뭐라도 하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팔레스타인 퀴어의 생존과 해방을 염원하는 퀴어선언을 조직하기로 결정하고, 제안단체로서 개인과 단체의 참여를 조직하였습니다. 이 일과 관련해 6월 1일 서울퀴어문화축제 현장 무대에서는 발언으로, 행진에서는 팔레스타인 깃발을 휘날리며 구호를 외쳤고, 미국/영국/독일 대사관이 참여하는 부스 앞에서 규탄 행동도 벌였습니다. 그리고 6월 20일 세계난민의날을 맞아, 이스라엘 대사관 앞 기자회견을 통해 팔레스타인 연대 퀴어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선언에는 단체 89개, 개인 955명, 도합 1044명의 이름이 동참했습니다. 퀴어들이 꿈꾸는 해방은 누군가의 억압과 불평등에 눈감으면서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수많은 퀴어문화축제 참가자들이 걷는 행진길은, 한국 사회에 차별의 구조를 공고히 하려는 불평등한 정치에 맞서기 위해 싸우는 사람들과 함께 연대하는 길이었습니다. 그 연대의 길에 용기내어 참여해주신 분들과 다시 한번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외쳐 봅니다.
교육팀 <벌거벗은 Q - 섹스 돌(아)보기> 시즌2 와 <휘말린 날들> X 친구사이 북토크도 성황리에 잘 마쳤습니다. 그리고 회원지원팀의 회원대상 프로그램 ‘잠시 쉬어가요, 요가’도 3주차에 걸쳐 잘 진행되었습니다. 자긍심의 달에 맞춰 기획된 프로그램은 아니기도 하지만, 6월에 진행되다보니 회원들의 관심도 더 높았다고 봅니다.
▲ 06.07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 초청 강연 중 (사진제공: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그렇지만 여전히 자긍심의 달을 보내는 마음이 뭔가 아쉽거나 편치않은 점은 분명하게 있습니다. 자긍심의 달이라 명명하면서, 그 뭔지 모를 자긍심을 위해 한달 안에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 무엇이어야 할지,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계속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얻고자 하는 자긍심이 정상성 규범에 저항하는 퀴어라는 말만으로 그치는 것 만이 아니라, 난잡하고 문란한 퀴어의 실천들을 세상 속으로 확장하는 운동으로서 해방의 목표를 두는 것이라면, 그리고 그로 인해 우리가 마주하는 사회 위기에 조금이라도 목소리 내고 싸우고자 한다면, 자긍심의 달에는 이제 조금 더 도전하는 논의와 행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추상적인 문장이지만, 이는 앞으로 있을 논의에서 더 구체화해보겠습니다. 자긍심의 달. 다들 너무 애쓰셨습니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사무국장 / 이종걸
[178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7 : 뮤직캠프 <나는 OOO>/ <연극연습프로젝트 : 29길>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7 : 뮤직캠프 <나는 OOO>/ <연극연습프로젝트 : 29길> 매년 돌아오는 지보이스의 연례행사인 뮤직캠프 <나는 OOO>을 성황리에 마무...
기간 : 4월
[178호][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6 : 그렇게, 불안(정)(함)과 함께 살아가는 나날
[178호] [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6 : 그렇게, 불안(정)(함)과 함께 살아가는 나날 ■ 오랜 친구들과의 대화 지금 나에겐 10년 넘게 매달 만...
기간 : 4월
친구사이 2025년 2월 재정보고 *3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028,114 일시후원: 2,501,000 사업 기타사업 : 1,186,140 마음연결 : 40,000 기타 사정전 대...
기간 : 4월
친구사이 2025년 3월 후원보고 2025년 3월 정기후원: 613명 2025년 3월 신규가입: 6명 3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오준호님, 김시은님, 윤영권님, 이신님, 고고씽...
기간 : 4월
[178호][알림] 친구사이 오픈테이블 <HIV를 둘러싼 다양한 ' □□□ ' 를 이야기하는 모임 > 5월모임
<친구사이 커뮤니티 사귐 프로젝트> 친구사이 오픈테이블 <HIV를 둘러싼 다양한 ' □□□ ' 를 이야기하는 모임 > 5월모임 친구사이 오픈테이블에서는 게이...
기간 : 4월
[178호][알림] 특별모금: 친구사이 사정전 기울어진 책상 바로잡기
“이젠 안녕…!” 12년 된 사정전 테이블 교체를 위한 특별모금에 함께해주세요! 혹시 알고 계셨나요? 친구사이 사정전의 테이블은 10년이 넘은...
기간 : 4월
2025년 3월 29일 오후 5시, 광화문 앞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3월 친구사이 정기모임이 개최되었다. 친구사이 정기모임은 정회원 유지 자격의 기준이 되는 ...
기간 : 3월
[177호][활동보고] 이제는 평등의 봄을 우리가 만들어야겠습니다.
이제는 평등의 봄을 우리가 만들어야겠습니다. 봄이 더디게 옵니다. 일교차가 심합니다. 대형산불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희생된 분들과 사랑하는 ...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윤석열 파면" #1] 친구사이 성명 : 혐오수괴 윤석열의 파면을 환영한다.
[성명] 혐오수괴 윤석열의 파면을 환영한다. 오늘 헌법재판소는 전원일치된 의견으로 윤석열을 대통령직에서 파면했다. 헌법재판소가 판결문에 명시했듯, 내란을...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윤석열 파면" #2] 무지개행동 성명 : 오늘의 승리를 시작으로 새로운 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자
[성명] 오늘의 승리를 시작으로 새로운 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자 우리가 승리했다! 오늘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윤석열 파면 결정으로, 주권자 시민은 마침내 내...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4] 흘리는 연습, 나와 나 사이의 거리에서
[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4] 흘리는 연습, 나와 나 사이의 거리에서 친구가 되기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상대가 필요하다. 나와 나가 친해지기에도 연습이 필...
기간 : 3월
[177호][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5] 그(들)이 흘리는 갈래_친구사이 기획전 《흘리는 연습》
[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5] 그(들)이 흘리는 갈래_친구사이 기획전 《흘리는 연습》 전시회 감상평을 기고해주신 오어진 님은 시각예술 연구자입니다. 종교...
기간 : 3월
[177호][활동스케치] 친구사이 활동을 하는 트랜스젠더가 존재한다고?
[활동스케치] 친구사이 활동을 하는 트랜스젠더가 존재한다고? 그렇다. 놀랍게도 현재 트랜스젠더는 친구사이 내에서 게이 구성원과 활동하고 있다. 나는 현재 ...
기간 : 3월
[177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6 :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 유키사다 이사오, <궁지에 몰린 쥐는 치즈 꿈을 꾼다>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6 : 2025년 2월,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물고기의 비늘에 바다가 스미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시간이...
기간 : 3월
[177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6 : 지금도 연습 중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6 : 지금도 연습 중 지보이스는 지난 2월 친구사이의 소식지 전시회 <흘리는 연습>에서 게릴라 공연 <지금도 연습 중>으로 함께 참...
기간 : 3월
[177호][기고] Mardi Gras in Sydney, 도시 전체가 무지개 빛으로 물들다
[기고] Mardi Gras in Sydney, 도시 전체가 무지개 빛으로 물들다 본 글은 2023년과 2025년, 시드니 마디그라(Sydney Mardi Gras) 축제에 참여한 참관기입니다. ...
기간 : 3월
친구사이 2025년 2월 재정보고 *2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9,047,718 일시후원: 551,000 사업 김대리는티가나 : 240,000 기타사업 : 399,000 기타 사정전 ...
기간 : 3월
2025년 친구사이 2월 후원보고 2025년 2월 정기후원: 609명 2025년 2월 신규가입: 4명 2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이동현님, 햇볕한줌님, 박동혁님, 윤지호님 (총...
기간 : 3월
[177호][알림] 친구사이 4월 정기모임 – 봄맞이 실내 운동회〈친구사이 육체미 소동〉
친구사이 4월 정기모임 – 봄맞이 실내 운동회 〈친구사이 육체미 소동〉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는 4월 정기모임으로 ‘봄맞이 실내 운동회&r...
기간 : 3월
[177호][알림] 친구사이, 약물사용자와함께하는사람들 집담회
<친구사이, 약물사용자와함께하는사람들 집담회> ‘약물’은 이미 우리 곁에 존재하고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간혹 집요하게 이 문제를 ...
기간 :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