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4월 |
|---|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39
: 10년 전, 4월 16일
1.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0인 시민합창 영상참여
지보이스는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0인 시민 합창 <세월의 울림>에 연대단체로 참여하였습니다. 비록 영상참여라는 방법으로 직접 현장에 있지는 않았지만, 합창과 노래로써 하나 될 수 있었고, 또 그럴 수 있는 ‘합창단’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에 보다 감사하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 세월의 울림 중계화면에 나타난 게이합창단(feat.친구사이)
![]()
지보이스 단장 / 싸게
2. 잊지 못하는 날 – 지보이스 단원 명흠
10년전 4월 16일. 그 날은 절대로 잊지 못하는 날입니다.
지보이스에서 세월호 10주기 연대공연을 참여하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으나 최대한 절제하면서 적어보려 합니다.
많은 분들이 세월호 참사에 관해 많은 연대와 추모의 글을 올릴 것이라 생각되어 저의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안산의 한 고등학교서 고3이었던 저는 그 날을 절대 잊지 못하지요. 처음 침몰 소식이 나왔을 때 안산 내의 고등학교는 마비였습니다. 온갖 친척들에게 너네 학교 아니냐, 너는 괜찮냐 등 끊임없는 연락이 왔었지요. 그런 와중 전원 구조의 뉴스를 보고 우리 반의 모든 친구들은 다행이다 라고 생각하였으나 한 두시간 뒤 오보임을 알았지요. 그 후 제가 1학년때 한국사를 가르치셨던 존경하던 선생님께서 세월호에 타셨고 돌아가셨다는 것을 들었으며… 제가 고2때 수학여행 갈 때 탔던 배가 세월호의 쌍둥이 배임을 알았지요.
저에게 2014년은 투쟁과 슬픔의 한 해였습니다. 그 전에도 온갖 집회를 참여 했었지만, 이렇게 눈물로 진심으로 참여한 집회는 처음이었지요. 제가 교사라는 꿈을 가지면서 어떤 교사가 되어야 하는지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10년 후. 이 사회는 무엇이 바뀌었는지요. 세월호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없이 시간만 흘렀습니다. 그 사이에 저는 교사가 되어 아이들을 만나왔지요. 제가 정의로운 교사로 살아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항상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아이들과 그 기억을 공유하고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라고만 있습니다.
지보이스를 들어온 후 많은 연대활동을 기대했습니다. 그 중 가장 기대했던 것은 세월호 참사일 것입니다. 이번 4160 시민 합창에 지보이스가 참여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준비를 하는 동안 얼마나 울었는지 모릅니다. 과거 안산의 고등학생이었던 내가, 지금 다시금 세월호 참사를 함께 연대하여 노래부를 수 있다라는 사실이...
게이 합창단이라고 하지만 지보이스가 언제나 사회에서 아픈 이들과 함께, 우리의 목소리가 필요한 곳이라면 주저하지 않고 연대할 수 있는 그런 단체여서 감사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모두의 생명권과 안전이 지켜지고 우리의 평등권이 보장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 투쟁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우리의 노래가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들에게 작은 위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끝까지 잊지 않고 함께 싸울 수 있도록 다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동작관악 시민모임에서 세월호 10주기 집회에서 전교조 서울지부 합창단 객원멤버로 참여한 명흠의 모습
![]()
지보이스 단원 / 명흠
[183호][알림] 친구사이 x <RUN/OUT>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2 (10.24.)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2 지금, 질문을 던집니다. “한국에서 정치에 도전하는 커밍아웃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상상해본 적 있나요?&rdqu...
기간 : 9월
[182호][이달의 사진] 게이들은 누구를 왜, 어떻게 돌보고 살았을까
2023년부터 가족구성권연구소에서 진행된 게이남성돌봄 연구의 최종보고서 『게이들은 누구를 왜, 어떻게 돌보고 살았을까 : 게이 남성 돌봄과 퀴어생존의 생태...
기간 : 8월
[182호][활동보고] 왓츠인마이백 : 친구사이, 다음 30년은 당신과 함께
왓츠인마이백 : 친구사이, 다음 30년은 당신과 함께 안녕하세요, 친구사이 상근활동가 기용입니다. 종걸 사무국장께서 8월 안식월이시기 때문에, 이번 활동보고...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1] RUN/OUT: 서로 다른 정치를 엮어내는 힘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1] RUN/OUT: 서로 다른 정치를 엮어내는 힘 성소수자 인권운동이 시작된 지 3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정치 진입의 구...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2] RUN/OUT: 참가자 후기 - 사적인 것이 정치가 된 순간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2] RUN/OUT: 참가자 후기 - 사적인 것이 정치가 된 순간 친구사이 8월 정기모임은 <이렇게 된 이상 국회로 간다>라는 주제로 열...
기간 : 8월
[182호][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3] RUN/OUT: 한국 정치의 벽을 무너뜨리다
[커버스토리 "RUN/OUT 프로젝트" #3] RUN/OUT: 한국 정치의 벽을 무너뜨리다 RUN/OUT: Breaking Down Barriers in Korean Politics 한국 정치 지형 속 성소수자...
기간 : 8월
[182호][활동스케치 #1]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한 <은수저> 선물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한 <은수저> 선물 혼인평등소송에 나선 회원들을 위해 <은수저> 선물로 마음을 모았습니다. 작년 10월부터 혼인평등소송을 시작...
기간 : 8월
[182호][활동스케치 #2] 말 걸기, 숨쉬기 — 친구사이·마음연결 프라이드 엑스포 후기
말 걸기, 숨쉬기 — 친구사이·마음연결 프라이드 엑스포 후기 지난 8월 23-24일, 주말 이틀 동안 사무국과 친구사이의 성소수자자살예방프로젝트 &l...
기간 : 8월
[182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50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 문집 합평 이야기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50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 문집 합평 이야기 : 할레드 호세이니, 왕은철 옮김, 『연을 쫓는 아이』, 현대문학, 2022[2...
기간 : 8월
[182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50 : 2025 정기공연 <Why We Sing>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50 : 2025 정기공연 <Why We Sing> 1. 2025 지보이스 정기공연 : Why We Sing 일시 : 2025년 10월 19일(일) 오후 6시 장소 : 양천구...
기간 : 8월
[182호][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0 : 온누리가 사내연애, <3670>
[에세이] 내 인생의 퀴어영화 #30 : 온누리가 사내연애, <3670> ▲ 박준호 감독, <3670>(2025) 서울의 게이커뮤니티 종로·이태원은 만인이 만인에게 식되...
기간 : 8월
친구사이 2025년 7월 재정보고 *7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12,203,405 일시후원: 17,264,300 사업 교육사업 : 1,480,000 마음연결(민관협력사업): 5,319,2...
기간 : 8월
친구사이 2025년 7월 후원보고 2025년 7월 정기후원: 637명 2025년 7월 신규가입: 4명 7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서정현, 강진우, 함용길, 이현우 (총 4명) 증액...
기간 : 8월
[182호][알림] 친구사이 x <3670> 종로3가 GV 상영회
친구사이 x <3670> 종로3가 GV 상영회 종로3가의 게이를 담은 <3670>, 종로3가에서 게이들이 상영하다 ★ 영화 관람 후 관객과의 대화 진행 Host : 망원댁TV 킴 ,...
기간 : 8월
[182호][알림] 친구사이 x <RUN/OUT>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1
커밍아웃 성소수자 정치인 가능성 찾기 #1 지금, 질문을 던집니다. “한국에서 정치에 도전하는 커밍아웃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상상해본 적 있나요?&rdqu...
기간 : 8월
[181호][이달의 사진]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온 내란 옹호와 성소수자 혐오
친구사이가 2007년 이래 연대 단체로 참가 중인 무지개행동* 주관으로, 2025년 7월 22일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내란 옹호-성소수자 혐오 국민통합비...
기간 : 7월
[181호][활동보고] 2025년 상반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5년 상반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5년 상반기가 지나고, 어느새 7월을 마감하고 있습니다. 내란 종식을 위한 윤석열 퇴진운동으로 시작한 2025년이기도 ...
기간 : 7월
[활동스케치 #1] 인권활동가대회 후기 지난 7월 18~19일 인권활동가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친구사이 사무국 3인도 참여했는데요. 성소수자 인권을 포함해 정말 ...
기간 : 7월
[181호][활동스케치 #2] 학술대회 후기 : 문란하고 난잡한 돌봄으로 우리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활동스케치 #2] 문란하고 난잡한 돌봄으로 우리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 2025 한국성소수자/퀴어연구학회 학술대회 ‘게이남성 돌봄이 위치한 다층적 풍경&...
기간 : 7월
[181호][활동스케치 #3]『퀴어 디플로머시』공부 모임 및 북토크 참여 후기
[활동스케치 #3] 『퀴어 디플로머시』공부 모임 및 북토크 참여 후기 윤석열의 계엄 여파로 사회가 술렁이던 올해 1월 초,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
기간 :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