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11월 | 
|---|
[소모임] 문학상상, 문학 한 숟갈 
: 김성중, 『에디 혹은 애슐리』 중 「상속」
- 소설을 사랑하는 당신, 상속자

소설을 사랑하는 이에게 꼭 권하고 싶은 작품, 김성중 작가의 「상속」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인간은 죽을 때 무엇을 가져가고 싶을까요? 한강이 보이는 집, 고급 스포츠카는 아닐 것입니다. 또 무엇을 다음 세대에 길이 남길까요? 이 작품에서는 두 질문에 관해 책이라고 말합니다.
작품은 중년 여성인 기주의 췌장암이 재발했음을 밝히며 시작됩니다. 죽음이 머지 않은 기주는 화자인 진영에게 자신이 갖고 있는 책들을 넘겨주려 합니다. 이 책들 중엔 기주와 진영에게 글쓰기를 가르쳤던, 지금은 세상을 떠난 문학 아카데미 선생님에게서 물려받은 책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제목인 ‘상속’은 세상을 떠난 ‘선생님’의 책이 기주에게, 췌장암에 걸려 신변을 정리중인 기주의 책이 진영에게 전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품의 마지막에서 이 유산은 처음에 어디서 온 건지 밝혀집니다. 이때 제목 ‘상속’의 의미가 크게 확장됩니다. 이 유물들은 도스토예프스키, 발자크, 톨스토이, 나보코프, 플로베르, 카프카, 마르케스, 그 외의 작가들에게서 온 것입니다. 이들의 책은 오래도록 남겨져 후손들이 그들의 작품에 밑줄을 긋고, 그 밑줄이 그 작품에 생명력을 더하고, 또 세월이 훨씬 더 흘러도 길이 남을 유물들인 것입니다. 책에서 항아리로 표현되었듯이 마치 고대 유물 같은 성스러움과 귀중함을 가진 것들입니다.
작품에서는 뛰어나지 않은 작품들에게도 따스한 시선을 보냅니다. 수많은 작가 지망생들의 습작들에서도 빛나는 작은 부분들은 있기 마련이며, 이것들은 부서진 항아리 조각으로써 미약한 빛을 내뿜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작은 조각들이 모이고 모여서 하나의 큰 빛무리를 이루고 있다는 것, 이 빛무리 안에서 유물들이 더욱 빛날 수 있다는 것. 이러한 표현으로 지금은 잊혀진, 혹은 발굴되지 않은 작품들에게 설 자리를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조각들이 점점 커져서 하나의 항아리가 될 테니까요.
작품을 읽다 보면 아마도 작가는 독자를 소설을 사랑하는 이들로 설정했을 것이라 짐작하게 됩니다. 작품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문학적 재능에 관한 인생의 아이러니, 인간은 언제 작가가 되는 것인지, 글을 쓸 때는 어떤 마음이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독자를 좁게 설정한 만큼, 소설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전달되는 재미와 감동의 진폭은 더욱 큽니다.
화자인 진영은 소설 도입부에서 밝혀지듯 글을 쓸 수 없는 상태였지만 기주에게서, 선생님에게서, 선대 작가들에게서, 글을 사랑했던 사람들에게서 유산을 상속받으며 글을 쓸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은 꿈으로 표현되며 마치 종교적 체험 같기도 합니다. 또 작품을 읽다 보면 마치 소설을 읽는 사람들을 한데 묶어 동일한 종교의 영향 아래 두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여기엔 독자도 포함됩니다. 종교라고 표현한 이유는 동일한 것을 믿으며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이야기가 우리의 처지를 더 낫게 만든다라는 생각입니다. 이야기의 신봉자라면, 소설을 사랑한다면 김성중의 「상속」을 추천드립니다.

문학상상 / 조이
[181호][기고] 로뎀나무그늘교회, 친구사이 사정전을 떠나며
[기고] 사정전을 떠나며, 새로운 공간에서의 기대를 담아 로뎀나무그늘교회가 친구사이 사정전에 첫발을 내디뎠던 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2016년 9월, ...
기간 : 7월
[기고] 광장의 기준과 인사(人事) 나에게 다정해줘/ 안 그럼 죽어버릴 거야/ 아무도 구할 수 없음/ 움직일 수 없음/ 뱃속에서 마취된 몸에 팔다리가 생김/ 죽겠다...
기간 : 7월
[181호][칼럼] 내 불필요한 경험들 #10 : 출퇴근 귀농타령
[칼럼] 내 불필요한 경험들 #10 : 출퇴근 귀농타령 요즘은 가끔 귀농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퇴근하고 돌아와 저녁밥을 먹는 친구 건너에 앉아 간식을 주워먹으며...
기간 : 7월
친구사이 2025년 6월 재정보고 *6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6,674,328 일시후원: 23,667,720 사업 무지개인권상 : 2,004,082 마음연결 : 120,000 마음연결(...
기간 : 7월
친구사이 2025년 6월 후원보고 2025년 6월 정기후원: 633명 2025년 6월 신규가입: 23명 6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김태웅, 김보겸, 오창균, 아프, 이웅찬, 이민...
기간 : 7월
[181호][알림] 2025 친구사이 교육팀 하반기 프로그램 - 게이 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
2025 게이 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 ⚖️ 게이커뮤니티 생활법률 강연이 열립니다! 게이법조회의 현직 변호사들이 알려주는 성소수자를 위한 법률 상식! 친구사이 ...
기간 : 7월
[180호][이달의 사진] 우리가 우리의 문화를 만들었다
2025년 6월 27일, 종로3가 소재 게이바 비바에서 '종로 프리즘 콘텐트 페스트'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지난 10여년간 게이커뮤니티의 페이스북, 인스...
기간 : 6월
[180호][활동보고] 할 일을 다하고 있는 자긍심의 달
할 일을 다하고 있는 자긍심의 달. 6월 3일 조기 대선으로 이재명 정부가 6월 4일 출범했습니다. 동성애가 인류의 지속 가능성에 해가 된다는 메시지로 혐오와 ...
기간 : 6월
[활동스케치 #1] 무지개연결 캠페인 참여해보셨나요? - '무지개연결 신림' 후기 신림 오신누를 아시나요? 신림 지역에서 오랜 기간동안 사랑 받고있는 ...
기간 : 6월
[180호][활동스케치 #2] 우리가 이긴다 - 혼인평등소송 원고들과 함께 한 6월 정기모임 후기
[활동스케치 #2] 우리가 이긴다 - 혼인평등소송 원고들과 함께 한 6월 정기모임 후기 친구사이 2025년 6월 정기모임은 한국의 혼인평등소송 원고 22명 중 네 분...
기간 : 6월
[180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9 : 천쓰홍, <귀신들의 땅>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천쓰홍, <귀신들의 땅> 작가는 귀신들의 땅이라는 소설을 왜 썼을까. 나는 이 책이 천쓰홍이라는 작가가 이 이야기를 뱉어내지 않...
기간 : 6월
[180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9 : 해외와 현장을 동시에 누비는 지보이스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9 : 해외와 현장을 동시에 누비는 지보이스 1. 6년만에 만난 친구들 지보이스는 6.13부터 6월 15까지 국제 아시아 합창제인 <Hand ...
기간 : 6월
[180호][기고] 대선의 시간, 광장의 미래 – 빛을 만들던 한 노동자를 기억하며
[기고] 대선의 시간, 광장의 미래 - 빛을 만들던 한 노동자를 기억하며 그는 누워서도 가끔 내 옆을 스친다./ 나와 함께 나무 꼭대기에 나란히 앉아 먼 불빛들을 ...
기간 : 6월
[180호][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7 : 축제, 선거 그리고 2025년 6월의 서울
[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7 : 축제, 선거 그리고 2025년 6월의 서울 < 사진 1. 2025년 6월의 서울 > 사실, 광장이라는 표현을 썩 좋아...
기간 : 6월
친구사이 2025년 5월 재정보고 *5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11,783,730 일시후원: 724,500 특별모금(기울어진책상): 1,656,324 사업 워크숍(육체미소동) : ...
기간 : 6월
친구사이 2025년 5월 후원보고 2025년 5월 정기후원: 612명 2025년 5월 신규가입: 4명 5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masa2000님, 박상현님, 조현광님, 김민우님 (총...
기간 : 6월
[180호][알림] 교양? 이게 내 교양이다 1탄 : 꽃꽂이 (꽃바구니만들기)
교양? 이게 내 교양이다 1탄 : 꽃꽂이 (꽃바구니만들기) 친구사이 회원지원팀에서 친구사이 회원 및 예비 회원을 대상으로 교양강좌를 개설했습니다. "꽃은 말이...
기간 : 6월
[179호][이달의 사진] 게이커뮤니티의 살림, 친구사이의 살림
2025년 5월 31일 저녁, 5월 친구사이 정기모임이 사정전에서 개최되었다. 이 날의 정기모임에서는 친구사이 재정 및 후원 현황을 점검하고, 상근활동가 3인 체제...
기간 : 5월
5월의 장미를 보셨나요? 지난 5월 17일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BIT)에 친구사이는 예년처럼 낙원동 포차거리에 이 날을 기념하는 현수막을 게시했습...
기간 : 5월
[179호][커버스토리 "21대 대선" #1] 무지개행동 논평 : 성소수자 평등 실현하는 국정 운영을 촉구한다
[논평] 성소수자 평등 실현하는 국정 운영을 촉구한다. - 이재명 대통령 당선과 새 정부 출범을 맞이하며 12.3 내란 사태 이후 꼬박 반 년 만에 치뤄진 조기 대...
기간 :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