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9월 |
|---|
[소모임] 문학상상, 문학 한 숟갈
: 김애란, 《이중 하나는 거짓말》

나름의 결핍과 그늘을 안고 있어 자신 안에 스스로를 가둔 세 명의 고등학생들이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고 결국 성장한다는 이야기.
이들의 상처와 고통은 외부로부터 기인하여 자신이 어쩌지 못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부정과 의심, 상황에 대한 몰이해로 스스로를 모는(고통 속에 자신을 방치하는) 가학적인 측면도 있다.
내면이 튼튼하지도 않고 세상과 타협하는 방법을 배우지도 못한, 아직 십대의 그들은 서로가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돕는데, 그 과정에서 인물들은 서로에게 엮이며 영향을 주고받는다.
작가는 자신의 어둠을 어쩌지 못할 때 타인의 손길(어둠을 문질러 빛이 새어나오게 만드는 손가락, 11쪽)이 필요함을, 그것에 다소 기대도 괜찮음을 이야기한다.
단어와 생각을 오랫동안 갖고 논 사람만이 빚어낼 수 있는 문장들이 여전하다. 작가의 특징이었던 ‘달콤쌉싸름한’ 정서에서 ‘달콤함’은 많이 휘발되고 쌉싸름함이 짙게 남아 있는 느낌이다. 그래서 이야기 전체가 꽤 어둡다. 그럼에도 개인이라는 섬을 잇는 정서적 다리, 타인의 도움과 영향력, 서로를 향해 내미는 손길 등 세상을 바라보는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변하지 않은 것 같아 반갑다.
좋은 말은 여기까지.
이야기가 단조롭다. 그것 자체는 단점은 아니다. 하지만 비중 있는 인물이 세 명이나 등장하고 이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며 작품 내내 세 명의 시점을 오가고 있다면, 독자는 (분량과는 상관없이) 보다 풍성한, 빨강과 노랑, 파랑의 셀로판지가 서로 적당히 겹쳐 있는 것처럼 다채로운 이야기를 기대할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은 그러질 못한다. 개성이 없는 인물들에 그들끼리 중복되는 설정(엄마의 부재, 암에 걸린 두 명의 엄마, 사고로 죽은 두 명의 엄마, 폭력 가장 두 명, 그런 아버지에 대해 살의를 품는 아들 두 명, 그림에 소질이 있는 두 명의 인물, 두 마리의 애완동물 등)에 서로 비슷한 면이 많아 마치 세 장의 셀로판지가 차곡차곡 포개져 있어 결국 검정색만 보이는 형국이다.
그리고 전형적이다. 미숙한 십대, 상처와 아픔, 극복과 성장. 이런 서사를 김애란을 통해 굳이 읽어야 하는 이유가 뭘까. 익숙하고 공산품같은 이야기일수록 김애란 아니면 쓰지 못하는 뭔가가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이야기가 더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크다. 세 인물들 중, 그럭저럭 이야기가 완결된 것으로 보이는 건 ‘지우’가 유일하다. ‘소리’와 ‘채운’의 경우는 뒤에 이야기가 더 필요해 보인다. 지금으로선 너무 성급해 보이고, 인물들이 서로 너무 느슨하게 관련되며, 이야기가 다소 자연스럽지 못하고 인위적이다. 소리의 초능력은 작가로서 일종의 도전이었을 것 같은데, 그런 설정의 쓸모가 다소 정확하지 않고 명분도 적어 보인다. 좋아하는 작가의 오랜만의 신작이라 반갑게 읽었지만, ‘역시 김애란!’하고 외칠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
문학상상 / 영꽃
[179호][커버스토리 "21대 대선" #2] 차제연 논평 : 이제는 진짜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로
[논평] 이제는 진짜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로 - 이재명 대통령 당선과 새로운 정부 출범에 부쳐 - 8년 만에 마주한 조기 대선이 끝났다. 내란의 우두머리 윤석열...
기간 : 5월
[179호][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6] 《흘리는 연습》 작업 후기: 어떤 경로와 어떤 다짐
[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6] 《흘리는 연습》 작업 후기: 어떤 경로와 어떤 다짐 시각디자인을 업으로 삼은 지 13년이 됐다. 이는 내가 친구사이 사람들과 지...
기간 : 5월
[179호][활동스케치 #1] 화성 외국인 보호소에서 세 명의 이주민 게이를 만나고.
[활동스케치 #1] 화성 외국인 보호소에서 세 명의 이주민 게이를 만나고. 5월 22일(목) 화성에 있는 외국인 보호소를 가기 위해 이른 아침 집에서 출발했습니다...
기간 : 5월
[179호][활동스케치 #2] 제19회 무지개인권상 콘텐츠 부문, 8번째 트랜스패런트 파티 후기
[활동스케치 #2] 제19회 무지개인권상 콘텐츠 부문, 8번째 트랜스패런트 파티 후기 지난 5월 18일, 이태원 ‘코끼리’에서 열린 제8회 트랜스패런트 ...
기간 : 5월
[179호][활동스케치 #3] 혼인평등소송 지금 어떻게 되어가고 있어?
[활동스케치 #3] 혼인평등소송 지금 어떻게 되어가고 있어? 지난 2024년 10월 10일 11쌍, 22명의 동성부부가 혼인평등소송을 개시했던 소식 알려드렸었는데요. ...
기간 : 5월
[179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8 : 이마무라 나쓰코, <보라색 치마를 입은 여자>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이마무라 나쓰코, <보라색 치마를 입은 여자> 『보라색 치마를 입은 여자』 책모임은 이제는 바뀌어버린 친구사이의 책상 ...
기간 : 5월
[179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8 : 5월, 연대공연의 향연
[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8 : 5월, 연대공연의 향연 1. 비상행동 <내란청산 사회대개혁> 연대공연 참여 5월 10일(토) 지보이스는 이번 탄핵, 파면국면에서 자...
기간 : 5월
친구사이 2025년 4월 재정보고 *4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회비: 8,864,049 일시후원: 2,538,900 트별모금: 993,350 사업 워크숍(육체미소동) : 570,000 교육사...
기간 : 5월
친구사이 2025년 4월 후원보고 2025년 4월 정기후원: 609명 2025년 4월 신규가입: 3명 4월의 신규 정기 후원회원 김영찬님, 신임수님, 김태욱님 (총 3명) 일시후...
기간 : 5월
[179호][알림][서명] 새정부 국정과제 요구 1만인 서명 – 새로운 민주주의는 차별금지법과 함께!
[서명] 새정부 국정과제 요구 1만인 서명 – 새로운 민주주의는 차별금지법과 함께! 서명 마감 : ~2025년 6월 14일(토) 자정까지 서명 참여하기 : bit.ly/e...
기간 : 5월
[179호][알림][서명] 한국 성소수자-팔레스타인 연대 성명 : 집단학살에 침묵, 공모하는 프라이드는 없다
퀴어 팔레스타인 지지 연서명 참여 요청 [한국 성소수자 - 팔레스타인 연대 성명] 집단학살에 침묵, 공모하는 프라이드는 없다 - 팔레스타인의 반식민 투쟁에 적...
기간 : 5월
[178호][이달의 사진] 11년과 1696주의 기다림
2025년 4월 16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제1696번차 정기수요시위가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열렸다. 수요시위는 1992년 1월 8일 ...
기간 : 4월
[178호][활동보고] 평등의 약속을 이어가는 연대 활동들
평등의 약속을 이어가는 연대 활동들 일상이 돌아왔습니다. 꽃도 만개했고, 봄이 무르익어 갑니다. 대통령 파면은 12·3 내란 청산의 시작이지, 끝난 것은...
기간 : 4월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1] 약물, 현상과 시각
박보성, <안아줘> (사진 by 맹보) [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1] 약물, 현상과 시각 ‘약물’은 이미 우리 곁에 존재하고 ...
기간 : 4월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2] 약물사용과 건강 그리고 고통에 대해서
박재경, <제목 미상> [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2] 약물사용과 건강 그리고 고통에 대해서 1. 나는 건강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고 있...
기간 : 4월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3] 우리의 역할 – 안전기지
사진 by 홍민욱 [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3] 우리의 역할 – 안전기지 “혼자서 하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동료와 함께라...
기간 : 4월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4] 친구사이와 약물사용자
[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4] 친구사이와 약물사용자 친구사이는 약물사용자와 함께합니다. 알콜 얘기부터 해볼까요. 한국에 알콜중...
기간 : 4월
[178호][활동스케치 #1] 친구사이 육체미소동 후기
[활동스케치 #1] 친구사이 육체미소동 후기 친구사이는 2025년 4월 26일, 정기모임의 대체행사 봄맞이 운동회 <육체미소동>을 진행했습니다. 350명 정도의 인원...
기간 : 4월
[178호][활동스케치 #2] 2025년 상반기 교육프로그램 '벌거벗은 Q – 성소수자가 꿈꾸는 무지개 다리' 후기
[활동스케치 #2] 2025년 상반기 교육프로그램 '벌거벗은 Q – 성소수자가 꿈꾸는 무지개 다리' 후기 봄날의 햇살이 반짝이는 4월, 친구사이 교육팀...
기간 : 4월
[178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 박상영, <믿음에 대하여>
[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박상영, <믿음에 대하여> 뭐 대단한 걸 쓰겠다고 글 쓰는걸 이리 미뤄놨는지. 새삼 배서정이 참 대단하다. 신입 두명이 부스 행사...
기간 :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