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 국민 408801-01-242055
  • English
  • 소개
    • 가치와 비전
    • 조직
    • 살림
    • 연혁
    • 오시는길
  • 활동
    • 마음연결
    • 소식지
      • 표지
      • 연도별 기사
      • 구독신청
    • 소모임
      • 마린보이
      • 지보이스
      • 책읽당
      • 문학상상
      • 가진 사람들
  • 알림
    • 공지사항
    • 행사신청
    • 전체일정
    • FAQ
  • 커밍아웃
  • 후원
    • 정기후원
    • 일시후원
    • 해피빈 후원
  • 아카이브
    • 자료실
    • 취재 및 리포트 자료
    • 뉴스스크랩
    • 프로젝트
      • 포토보이스
      • 성소수자 가족모임
      • 게이봉박두
      • 엄마한테 차마못한 이야기
      • 내그림
      • 인권지지 프로젝트
    • 청소년 사업
      • 청소년 사업 소개
      • 목소리를 내자
      • 퀴어-잇다
      • 게시판
    • 가입인사
    • 자유게시판
    • 회원게시판
    • 활동스케치
  • 인권침해상담

연도별 기사

  • HOME
  • 활동
  • 소식지
  • 연도별 기사
마음연결 소식지 소모임
표지 연도별 기사 구독신청
  • 마음연결
  • 소식지+
    • 표지
    • 연도별 기사
    • 구독신청
  • 소모임+
    • 마린보이
    • 지보이스
    • 책읽당
    • 문학상상
    • 가진 사람들
소식지 연도별 기사
중국에서 벽장 밖으로 나오기
2004-01-27 오후 15:25:48


변화하는 중국의 동성애자들, 동성애 문화

편집자 주/ 아래의 글은 미국에서 유학 중인 데미지 님이 영국 bbc 기사를 번역해서 보내주신 내용입니다.

원문: http://news.bbc.co.uk/1/hi/world/asia-pacific/3389767.stm


2004. 1. 13. 'BBC' 방송 위엔 챈 씀

상해 성적 소수자 핫라인(Shanghai Sexual Minorities Hotline)이라... 의도적으로 모호한 이름이다. 대다수 사람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겠으나, 동성애 커뮤니티의 일원은 이 명칭을 보면 그 뜻을 즉각 알아차리게 마련이다. 물론 상담차 전화를 걸어오는 사람이 한두 명밖에 안 되는 밤도 있다. 하지만 오늘밤은 전화벨이 연달아 울린다.

자원 봉사자들은 에이즈 및 기타 성병에 대한 충고와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그들이 주로 제공하는 것은 바로 상담과 정서적 지지이다.

핫라인 자원 봉사자이자 전업 활동가인 스티븐 구는 대다수의 통화가 인간 관계에 있어서의 문제, 결혼에 대한 고민, 그리고 사회적 압력에 대한 것이라고 일러준다.

그에 의하면 중국의 동성애자들은 종종 (동성애자)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사실 인터넷 덕택에 (게이 친구를 사귀기) 쉽기는 하지만, 협박에 대한 괴담 때문에 겁을 잔뜩 먹은 친구들도 있거든요.'

그는 깔깔 웃으며 말한다. '아쉽지만 저희가 제공하는 건 짝짓기 서비스가 아니예요. 하지만 저희도 슬슬 시작해야 될지도 모르죠.'

또 다른 자원 봉사자이자 박사 과정 학생인 데이비드는 자기 여자 친구에게 커밍아웃하기를 두려워하는 동성애자에게 전화로 다음과 같이 조언한다.

'누구나 사랑하고 섹스할 권리가 있어요. 그건 기본적인 인권이잖아요.' - 핫라인 자원 봉사자 데이비드 -

'결정은 결국 전화 거신 분만이 내리실 수 있는 거예요. 하지만 사랑이 없으면 이 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결혼하실 필요는 없겠죠.'

중국이 개방하면서 중국 각지의 도시에 숨어 살던 동성애자들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년 전에 정신병 목록에서 동성애를 공식적으로 삭제한 바 있는데, 이제는 소도시에도 게이바와 동성애자들이 만나는 장소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의 동성애자들은 인터넷 덕택에 외국의 동성애자 인권 발전 상황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됐는데, 이는 유례 없는 일이다.

데이비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누구나 사랑하고 섹스할 권리가 있어요. 그건 기본적인 인권이잖아요.'

바로 이같은 관점은─특히 학계에서─점차 논의되며 심지어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 있을 자리밖에 없다
중국의 유수 대학 중 하나인 복단 대학(Fudan University)은 동성애 관련 강좌를 개설한 바 있는데, 이는 동성애자들에 대한 주류 태도가 점차 개방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리 교수가 중국의 남자 대학생 중 16%가 동성애 경험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하자 다들 놀랐다.'

그 강좌는 중국 대학에서 최초로 개설되는 것으로, 학점을 받기 위해 정식으로 수강 신청한 학생은 단 한 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강의실은 만원이었다.

그 결과 지각생들은 서 있을 자리밖에 없었는데, 저명한 사회학자인 리인허(Li Yinhe)는 이 강좌에서 동성애 하위 문화에 대해 강의했다.

많은 학생에게 이 강좌는 그야말로 개안(開眼)의 계기였다. 리 교수가 중국의 남자 대학생 중 16%가 동성애 경험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하자 다들 놀랐다.

그녀는 중국에서 섹슈얼리티 연구뿐 아니라 전인대(전국 인민 대표자 대회) 내에서의 동성 결혼 관련 법 제정 시도의 선구자로서 유명하다.

리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안서를 작성하고 그걸 저 대신 전인대에 제출할 사람을 찾았어요. 그게 협의 사항에 오르려면 30명이 필요한데, 그 분께서는 사람을 그만큼 동원하지는 못하셨죠. 동성애자 커뮤니티가 그 시도를 아주 좋게 받아들이긴 했지만, 아쉽게도 목소리가 약하죠.'

그녀는 중국이 가까운 미래에 동성 결합을 받아들일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녀가 이같은 제안을 할 수 있었다는 것 자체가 획기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말 퍼뜨리기
중국 인민 공화국에서 동성애가 구체적으로 불법화된 적은 없다. 그러나 이는 사회적 불명예로 받아들여져왔다.

동성애자들은 정치적 위험 세력으로 간주돼 '폭력법'(hooliganism laws) 아래에서 탄압받았다. 그러나 이들 법은 1997년에 폐지됐으며, 2001에는 드디어 동성애가 정신병 목록에서 삭제되기에 이르렀다.

'인터넷이야말로 중국의 동성애자들이 서로, 그리고 뉴스, 생각, 정보에 접할 수 있게 된 매체이다.'

그 결과, 한결 관대해진 분위기에서 동성애 문화는 일종의 개화(開花)를 맞게 됐다. 역시 복단 대학에서 강의하며 미국 워싱톤을 근거지로 삼는 작가 겸 활동가 얼 얜(Er Yan)은 자신이 12년 전에 미국으로 떠날 당시만 해도 중국에 동성애 문화란 거의 없었다고 말한다.

'저희는 완전히 고립된 채 아무도 몰랐죠. 전 나중에 북경에 크루징 장소랑 공원이 몇 군데 있다는 걸 알게 됐지만, 거기 가본 적은 한 번도 없었어요. 신문에 "동성애자"라는 말이 나오긴 했지만, 수박 겉핥기식으로 언급될 뿐이었습니다. 보도고 뭐고 전혀 없었으니까요.'

다른 나라의 동성애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핵심 사안이던 HIV/에이즈에 대해 얼 얜은 당시 중국에 이에 대한 소식이 전혀 없었다고 회상한다.

'중국에서 에이즈에 대한 보도가 막 시작되던 때였어요. 가끔은 "동성애자"란 단어가 연관돼서 언급되곤 했죠. 하지만 그게 전부였어요.'

동성애 관련 학술적 연구 성과를 게시하는 웹사이트 운영자이기도 한 얼 얜은 이제 중국의 언론 매체의 동성애 관련 보도가 증가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뭣보다도 인터넷이야말로 중국의 동성애자들이 서로, 그리고 뉴스, 생각, 정보에 접할 수 있게 된 매체이다.

2001년 11월에 동성애자 웹마스터들은 북경에서 비밀리에 모였다. 그러나 이제는 중국에 수 백개의 동성애 웹사이트가 존재하며, 그 수치는 날로 증가 중이다.

그 결과 중국에서 동성애 문화가 점차 힘을 얻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서양, 그리고 홍콩과 대만 등지의 화교 사회로부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향후의 발전 방향은 중국만의 특징을 지니리라는 것이 얼 얜의 예측이다.

'조용한 혁명'
그는 중국에서의 발전이 외국에 비해 조용하며, 공개적인 동성애자 인권 운동 없이 진행될 것으로 내다본다.

'미국이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에 미국의 동성애자 인권 운동이 다른 나라의 모델로 간주돼왔죠. 하지만 중국인이 훨씬 더 수동적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일이 그렇게 풀리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지금의 정치 환경에서 길로 뛰쳐나가 시위하라고 하면 아무도 말 안 들을 겁니다.'

현재 중국 각지의 도시에 있는 동성애자 커뮤니티에서 조용한 혁명이 전개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얼 얜과 스티븐 모두 중국의 광대한 농촌 지역에는 이같은 변화의 혜택이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들은 중국의 동성애자 인권이 상당히 발전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입을 모은다.




데미지 코멘트 : 중국 경제가 겁나게(!) 발전하면서 사회도 많이 변하는 것같던데, 그 덕에 우리 동지들도 숨통이 좀 트인 모양이군요. 몇 년 전에 거기 게이들이 엄청 위험한 상황에서 몰래몰래 사람 만난다는 서양 언론의 잠입 기사를 읽은 적이 있는데, 적어도 대도시에서는 더 이상 그렇지 않나봐요. 공개적인 커밍아웃이나 운동은 없지만 인터넷 때문에 각종 커뮤니티가 생겨난다는 점에서 우리하고 비슷하면서 다르네요. 동성 결혼 합법화 제안서를 국회에 냈다는 대목은 참 놀랍구요. 우리나라 동성애자 인권 운동이 10년 좀 넘은 지금 상황에서, '후발 주자'인 중국이 여러모로 타산지석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암튼 어디 있든 간에 전세계의 게이 동지 화이팅!


목록
댓글 2
profile

모던보이 2004-01-27 오후 15:43

음... 맨 위쪽 사진의 오른쪽 남자는 저번 전재우 대표 등과 함께 필리핀 마닐라 ILGA 회의에 갔을 때 만난 사람입니다. 중국 측 대표단의 한 명이었어요. 말이 없고 다소 수줍은 듯한 기색의 남성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희가 그들에게 받은 인상은 '놀랍다'는 거였습니다. 대단히 열정적으로 자신의 단체를 홍보하고 중국의 상황을 알려나가는 모습이 부럽기도 했습니다.

희한하죠. 그 사람들 말에 따르면 핫라인 단체는 '친구사이'를 잘 알고 있다고 합니다.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게이 인권운동의 아시아적 모델의 한 가지로 여기는 듯한 낌새도 있었고요.

십 년 전, 90년대 초반의 한국 상황과 지금 현재의 중국의 상황과 비슷하단 생각이 드네요. 90년대 후반쯤에 왕가위 감독이 북경의 화장실 게이 커뮤니티에 관한 영화를 만들 계획을 가졌었는데, 은밀히 침묵의 공간에서 형성되던 중국 동성애자 게토의 상황을 반영했던 것이라 생각해야겠죠.

암튼 데미지 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자주 힘 써 주세요. ^^
  • 댓글
  • 수정
  • 삭제
profile

jinmingming 2008-08-01 오전 01:03

맛습나다 저도중국사람이거든요 이런사람들은 우리들을 위해서 많는 노력을 하고 잇지요
  • 댓글
리치 텍스트 편집기, editor1
에디터 툴바클립보드/실행 취소 실행 취소 다시 실행 텍스트로 붙여넣기 MS Word 에서 붙여넣기편집 찾기 바꾸기 모두 선택링크 링크 삽입/변경 링크 지우기 책갈피삽입 이미지 표 가로 줄 삽입도구 최대화 블록 보기문서 소스기본 스타일 굵게 기울임꼴 밑줄 취소선 아래 첨자 위 첨자 형식 지우기단락 순서 있는 목록 순서 없는 목록 내어쓰기 들여쓰기 인용 단락 Div 태그 생성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 양쪽 맞춤스타일문단문단글꼴글꼴크기크기색상 글자 색상 배경 색상xecomponent 이모티콘 출력 이미지 추가 멀티미디어 링크 개조 설문조사 이미지 갤러리 지도 글쓰기 도구▲
도움이 필요하면 ALT 0 을 누르세요
◢요소 경로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

파일 업로드 중... (0%)

0개 첨부 됨 (0Byte / 2.00MB)
검색

[178호][이달의 사진] 11년과 1696주의 기다림

기간 : 4월

178

[178호][활동보고] 평등의 약속을 이어가는 연대 활동들

기간 : 4월

145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1] 약물, 현상과 시각

기간 : 4월

179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2] 약물사용과 건강 그리고 고통에 대해서

기간 : 4월

214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3] 우리의 역할 – 안전기지

기간 : 4월

217

[178호][커버스토리 '약물사용자와 함께하는 사람들' #4] 친구사이와 약물사용자

기간 : 4월

159

[178호][활동스케치 #1] 친구사이 육체미소동 후기

기간 : 4월

200

[178호][활동스케치 #2] 2025년 상반기 교육프로그램 '벌거벗은 Q – 성소수자가 꿈꾸는 무지개 다리' 후기

기간 : 4월

222

[178호][소모임] 책읽당 읽은티 #47 : 박상영, <믿음에 대하여>

기간 : 4월

163

[178호][소모임] 이달의 지보이스 #47 : 뮤직캠프 <나는 OOO>/ <연극연습프로젝트 : 29길>

기간 : 4월

200

[178호][칼럼] 딱, 1인분만 하고 싶어 #6 : 그렇게, 불안(정)(함)과 함께 살아가는 나날

기간 : 4월

140

[178호] 친구사이 2025년 3월 재정보고

기간 : 4월

97

[178호] 친구사이 2025년 3월 후원보고

기간 : 4월

88

[178호][알림] 친구사이 오픈테이블 <HIV를 둘러싼 다양한 ' □□□ ' 를 이야기하는 모임 > 5월모임 

기간 : 4월

98

[178호][알림] 특별모금: 친구사이 사정전 기울어진 책상 바로잡기

기간 : 4월

146

[177호][이달의 사진] 광장의 정기모임

기간 : 3월

324

[177호][활동보고] 이제는 평등의 봄을 우리가 만들어야겠습니다.

기간 : 3월

226

[177호][커버스토리 "윤석열 파면" #1] 친구사이 성명 : 혐오수괴 윤석열의 파면을 환영한다.

기간 : 3월

163

[177호][커버스토리 "윤석열 파면" #2] 무지개행동 성명 : 오늘의 승리를 시작으로 새로운 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자

기간 : 3월

165

[177호][커버스토리 "흘리는 연습" #4] 흘리는 연습, 나와 나 사이의 거리에서

기간 : 3월

160
  • 1
  • 2
  • 3
  • 4
  • 5
10:00~19:00 (월~금)

사무실 개방시간

후원계좌: 국민 408801-01-242055

(예금주 : 친구사이)

02-745-7942

Fax : 070-7500-7941

contact@chingusai.net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개인정보수집/이용
  • 찾아오시는길
  • 후원하기
  • 마음연결
대표 : 신정한 / 고유번호 : 101 82 62682 /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39-1 묘동빌딩 3층 (우)03139
Copyright 1994 © CHINGUSAI All Right Reserved.
  • 소개+
    • 가치와 비전
    • 조직
    • 살림
    • 연혁
    • 오시는길
  • 활동+
    • 마음연결
    • 소식지+
      • 표지
      • 연도별 기사
      • 구독신청
    • 소모임+
      • 마린보이
      • 지보이스
      • 책읽당
      • 문학상상
      • 가진 사람들
  • 알림+
    • 공지사항
    • 행사신청
    • 전체일정
    • FAQ
  • 커밍아웃
  • 후원+
    • 정기후원
    • 일시후원
    • 해피빈 후원
  • 아카이브+
    • 자료실
    • 취재 및 리포트 자료
    • 뉴스스크랩
    • 프로젝트+
      • 포토보이스
      • 성소수자 가족모임
      • 게이봉박두
      • 엄마한테 차마못한 이야기
      • 내그림
      • 인권지지 프로젝트
    • 청소년 사업+
      • 청소년 사업 소개
      • 목소리를 내자
      • 퀴어-잇다
      • 게시판
    • 가입인사
    • 자유게시판
    • 회원게시판
    • 활동스케치
  • 인권침해상담
Copyright 1994 © CHINGUSAI All Right Reserved.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ID/PW 찾기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