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기사

소식지 연도별 기사
8명의 여인들
2004-02-08 오후 21:44:49


원제: 8 Femmes
감독 : 프랑스와 오종
배우 : 카트린느 드뇌브, 이자벨 위페르, 엠마뉘엘 베아르
개봉 : 2003년 2월 예정



2002년 베를린영화제의 최대의 화제작을 꼽으라 한다면 프랑스와 오종의 '8명의 여인들'을 거론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출연하는 배우들의 면면만 하더라도 금세 눈이 휘둥그레질 판이다. 카트린느 드뇌브, 이자벨 위페르, 엠마누엘 베아르 등 정말로 쟁쟁한 최고 여배우들이 총출연한 이례적인 캐스팅이었으니. 거기다가 '머리 끄댕이' 쌈박질을 하던 카트린느가 남편의 여동생과 갑자기 뜨거운 키스를 하거나 품위는 온데간데 없이 완전히 망가진 이자벨 위페르가 코믹하게 눈을 깜박이는데는 여느 관객이라도 관심을 가지지 않고는 못 배길 것이다.

그야말로 몇 십 년에 한 번 볼까말까한 스타들의 총천연색 야단법석이다. 게다가 '사랑은 비를 타고'의 전형적인 미국식 뮤지컬이 아니라 프랑스와 오종의 특별난 재주인 뜬금없는 뮤지컬의 맛이 독특하게 첨가된 이 기묘한 뮤지컬 영화는 코메디, 미스터리, 신파를 골고루 섞어 우리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붙잡아 두고 있다.

프랑스와 오종은 로버트 토마스(Robert Thomas)의 연극, 'Huit Femmes'를 각색해서 부르조아 가족 안에 매장당한 섹슈얼리티, 계급, 여성들의 연대를 날카롭게 해부하는데 주력한 것처럼 보인다. 어느 날 가부장 남편이 살해당하고, 그에 딸려 있던 8명의 여자들이 서로를 의심하며 좌충우돌하는 사이 가려져 있던 진실들이 수면 위로 하나둘씩 부상하게 된다.

하지만 이 영화는 도발적이지 않다. 아니 적어도 기존에 프랑스와 오종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이 영화에 핵으로 내장된 오종의 시선이 밋밋하다는 걸 느낄 것이다. 흑인 하녀와 고모의 레즈비언적 관계는 어딘가 모르게 어색하고, 카트린느와 고모의 키스는 폭소를 자아내 그 의미가 되려 빛바랜 것처럼 보이며, 의붓 아버지의 애를 밴 큰 딸 수종의 이야기는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조금 더 심하게 이야기하면, 프랑스와 오종이 자주 사용하는 반전들은 이미 눈에 익어 몇 커트 이상 예상가능할 정도로 매너리즘에 빠져 있다. 이제 그의 영화 언어에서 '도발'이라는 수사를 제거해야하는지 조심스럽게 생각할 때가 된 것 같다.

그렇지만 난 이 영화가 좋다. 특히나 이자벨 위페르의 뮤지컬 장면은 최근 본 어떤 비쥬얼보다 가장 마음에 와닿았고, 아름다운 화면들 속에서 반짝이는 훌륭한 배우들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체증이 가라앉는 듯한 느낌이었다.

2003-01-18

오래 전에 쓴 글입니다. 전 영화제에서 봤습니다만, 참 이 영화가 한국에서 개봉되기 어렵네요. 이번에 세 번째로 개봉 시도가 되고 있는 건데, 태극기 휘날리며가 개봉되면서 또 연기되었다고 합니다.



* 차돌바우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0-04-08 20:18)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