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The Hours
감독 : 스티븐 달드리
출연 : 메릴 스트립, 니콜 키드만, 줄리안 무어
제작 : 영국 2002
비디오, DVD 출시
ugly2의 평
언제부턴가 일요일 오후 늦잠자고 일어나 느긋하게 즐겨보던 "출발! 비디오여행"을 보지않게 되었다. 다른 방송사와 경쟁이 붙어서였는지, 어쨌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소개가 아닌 영화 내용을 주저리주저리 읊어주는 썸머리 프로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도대체가, 영화의 중요한 키워드, 반전, 스토리까지 다 보여주면 누가 극장으로 영화를 보러 가겠는가 말이다! -_-;;
출발! 비디오여행때문에 가장손해본 영화는 일본영화 "철도원" 이었는데, 철도원의 딸이 유령이었다는게 가장 큰 반전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다 까벌려져서 한없이 맥빠진 영화가 되어버렸다. 그 이후로, 영화에 대한 어떠한 얘기도 듣지 않고 개봉한 그 주에 다른 사람보다 먼저보려 열심히 뛰어 다닌 것 같다.
"디 아워스"도 개봉하자 마자, 부랴부랴 표를 끊고 극장으로 향한 영화중 하나였는데, 영화가 끝나고 하염없이 답답한 가슴을 쓸어내리며 마치 뒤통수를 맞은 것 같은 놀라움에 한참을 멍해 있었다. 막연하게 버지니아 울프에 대한 전기영화로만 알고있었던 나는 이 영화가 그녀, 혹은 그녀들이 겪어야했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다룬 영화라고 꿈에도 생각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하긴 이상했다. 메릴 스트립, 니콜 키드먼, 줄리언 무어...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배우들이 셋이나 출연하는 영화인데, 이 영화에 대한 정보나 마케팅이 턱없이 부족한것 같다는 생각을 했으니까. "동성애"코드를 내포한 영화라서 어떤 식으로 마케팅을 전개해야 할지, 막막했었던 건 아닐까? 동성애 코드를 내포한 영화가 성공하기란 대한민국 영화판에서 쉽지 않은 일이니까...
이 영화가 "빌리 엘리어트" 감독(스티븐 달드리)의 영화라는 걸 그리고, 그 감독이 "게이"라는것, "디 아워스"의 원작자(마이클 커닝햄) 역시 "게이"라는 것, "디 아워스"가 레즈비언에 관한 영화라는 것, 옆 좌석에 구겨진 찌라시에서 읽은 "게이감독이 그려내는 레즈비언의 모습이란 어떤것일까?"라던 어느 평론가의 영화평까지... 영화를 보고 나서야 한꺼번에 알게 된 사실 때문에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영화의 깊이에 빠지기 시작했다.
나름대로 이 영화를 정리하여, 게시판에 올렸더니 대부분 사람들은 "이 영화는 동성애에 관한 영화가 아니다!"라며 리플을 달기 시작했다. 그녀들의 고민, 방황, 일탈, 허무함들이 동성애를 용납하지 않았던 시대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가 될 듯도 한데, 사람들은 이 영화를 그렇게 정의내리려 하지 않았다. 게다가, 한술 더 떠서 "어머니(줄리안 무어)가 이웃집여자와 키스하는 장면을 보고 아들(애드 해리스)가 게이가 되었다!"라는 얼토당토 않는 이론을 보며 이 사회가 아직까지 동성애라는것이 잘못 인식되어 있구나, 하는 씁슬한 생각도 들었다.
투쟁하며 살아가는 삶 뒤에 얻어지는 진정한 자유!
삶은 전쟁판이고 난장판이며, 요지경이다. 그 삶속에서 투쟁하며 얻어야 하는 진정한 "자유"가 있다면 그 길이 험하고 힘들어도 걸어가야 한다고 말하던 버지니아 울프... 그러나 그녀역시 자살로 삶의 끈을 놓아버린 건 자신과 다른 사람을 인정하려 하지 않던 시대의 희생양이었나...
사족 : 세명의 여배우 필생의 명연을 보여줬고, 모두 평가 받아야 마땅하다. 시상식장에서는 "니콜 키드먼"이 가장 주목 받았으나, 개인적으로는 끝없이 불안한 신경쇠약 직전의 연기를 보여줬던 "줄리언 무어"에게 가장 큰 박수를 보내고싶다.
시놉시스 :
1923년 영국 리치몬드 교외 : 버지니아 울프의 집
버지니아 울프는 오늘도 집필중인 소설 '댈러웨이 부인'과 주인공에 관한 이야기로 머릿속이 가득하다. 자신을 너무나 사랑하는 남편 레너드의 극진한 보호를 받으며 답답한 생활을 하는 중이다. 런던에서 오기로 한 언니를 기다리던 비지니아는 예정보다 일찍온 언니를 보고 반가워 하지만, 언니는 잠깐 머물고 다시 돌아가 버린다. 언니를 보내고 저녁식사 시간을 앞둔 버지니아는 무작정 집을 뛰쳐나가 런던행 기차역으로 간다. 그리고 자신을 급하게 쫓아온 레너드에게 답답한 시골 생활을 벗어나 런던으로 돌아가자고 하지만, 레너드는 버지니아가 런던에서 얼마나 정신적으로 약해졌었는지를 상기시키며 그냥 있자고 말한다. 그때 버지니아는 삶을 정면으로 맞서야한다고 말하며, 이제 런던으로 돌아갈 때라고 말한다. 결국 레너드는 버지니아의 바램대로 런던에 가기로 동의한다.
1951년 미국 LA : 로라의 집
둘째아이의 출산을 기다리고 있는 로라는 귀엽고 건강한 첫째 아들과 자신을 끔찍히 사랑해주는 남편과 함께 안락하고 평화로운 삶을 누리고 있다. 그녀는 요새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댈러웨이 부인'을 한창 읽고 있는 중인데, 남편 리처드의 생일 날 로라는 아침부터 안절부절 못해한다. 그러다가 자신의 친구 키티의 방문을 받고, 그녀는 로라에게 자신의 자궁에 작은 혹이 생겨서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키티는 로라에게 아이가 있는 것을 부러워하며 그녀가 행운아라고 하지만, 로라는 자신의 그런 삶에 이미 염증을 느끼고 있다. 결국 로라는 가방에 약병을 가득 넣고 아이는 이웃집에 맡긴 채 호텔에 들어가 자살을 기도한다.
2001년 미국 뉴욕 : 클라리사의 집
댈러웨이 부인이라 불리는 클라리사는 옛애인인 리차드의 문학상 수상 기념파티 때문에 아침부터 분주하다. 그녀는 오늘 하루의 일정을 일러주기 위해 리차드를 아침 일찍 찾아가지만, AIDS와 투병하느라 지쳐버린 리차드는 파티에 가고 싶어하지 않는다. 겨우 그를 진정시키고 집으로 돌아와 열심히 파티 준비를 하는 클라리사. 샐리와 10년 동안 동거하는 그녀지만 여전히 클라리사는 리차드에게 정성을 쏟고 있다. 하지만 아침에 리차드로부터 안좋은 소리를 들은 그녀는 자신의 노력이 모두 헛된 일인 것만 같아 파티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 그러다가 리차드의 헤어진 애인 루이스의 이른 방문을 받고 당황한다.
* 차돌바우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0-04-0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