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 국민 408801-01-242055
  • English
  • 소개
    • 가치와 비전
    • 조직
    • 살림
    • 연혁
    • 오시는길
  • 활동
    • 마음연결
    • 소식지
      • 표지
      • 연도별 기사
      • 구독신청
    • 소모임
      • 마린보이
      • 지보이스
      • 책읽당
      • 문학상상
      • 가진 사람들
  • 알림
    • 공지사항
    • 행사신청
    • 전체일정
    • FAQ
  • 커밍아웃
  • 후원
    • 정기후원
    • 일시후원
    • 해피빈 후원
  • 아카이브
    • 자료실
    • 취재 및 리포트 자료
    • 뉴스스크랩
    • 프로젝트
      • 포토보이스
      • 성소수자 가족모임
      • 게이봉박두
      • 엄마한테 차마못한 이야기
      • 내그림
      • 인권지지 프로젝트
    • 청소년 사업
      • 청소년 사업 소개
      • 목소리를 내자
      • 퀴어-잇다
      • 게시판
    • 가입인사
    • 자유게시판
    • 회원게시판
    • 활동스케치
  • 인권침해상담

연도별 기사

  • HOME
  • 활동
  • 소식지
  • 연도별 기사
마음연결 소식지 소모임
표지 연도별 기사 구독신청
  • 마음연결
  • 소식지+
    • 표지
    • 연도별 기사
    • 구독신청
  • 소모임+
    • 마린보이
    • 지보이스
    • 책읽당
    • 문학상상
    • 가진 사람들
소식지 연도별 기사
피에르&질, 캠프
2004-02-22 오전 08:43:02


피에르&질 Pierre et Gilles



1976년, 파티장에서 만난 이후 그들은 곧 사랑에 빠졌다. 사랑은 그들의 직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피에르와 질'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사진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피에르가 주로 사진을 찍는데 주력한다면, 질은 미쟝센 세팅을 도맡는다. 질이 꽃무늬 벽지를 세팅하는 동안, 피에르는 렌즈를 장착하는 것이다. 가끔 그들은 모델 선정 때문에 다투기도 하지만 이내 두 사람이 선택한 모델들을 모두 선별하는 것으로, 또는 수렴가능한 선택지로 그들의 갈등은 원만히 해결되기도 한다.

한때 '키치Kisch'로 분류되어 그들의 작품이 폄하되기도 했지만, 지금 '피에르와 질'은 프랑스 사진계의 대표 명사처럼 여겨지고 있다.









Le Petit Communiste



St Jean et St Jacques 1989



St Sebastian 1987


불경

피에르&질의 사진은 때로 불경스럽다. 이 불경함은 그들이 선택한 키치의 질료들 위로 불궈져나온 에이도스. 그들은 닥치는 대로 스테레오 타입의 질료들을 수집한다. 카톨릭, 그노시즘, 소비에트의 프로파간다, 텔레비젼, 영화, 음반 자킷 등등....

그들이 수집한 스테레토 타입의 이미지들은 신디 셔먼의 사진들처럼 '전형성'을 타킷으로 삼기 위해 선택된 것들이다. 그들이 포착한 이미지는 전형적이고 반복되는 것들이며, 피에르&질은 이내 그 이미지를 에로티시즘으로 채색해버린다. 소비에트의 프로파간다와 중세 수도사들의 호모 아이콘이었던 성 세바스찬은 금세 호모에로틱한 주술에 포획된다.





Medusa  Model: Nina Hagen



Portrait of Jean-Paul Gautier



The Crying Sailor



Le Garcon Attache 1993 (first version) Model: Charly



Album Cover:Enchanted  Marc Almond 1990


모델

피에르&질과 함께 작업한 모델들의 리스트는 화려하다. 무명 모델들이 더 많았지만, 장 폴 고티에, 니나 헤이건, 보이 조지, 마돈나, 마이클 잭슨, 카트린느 드뇌브, 마크 알몽드 등과 같은 유명 인사들도 함께 참여했다.

특히 마크 알몽드와는 앨범 커버 사진을 여러 장 찍기도 했다.

대중 신화의 주역들인 스타들은 피에르&질이 선별해낸 스테레오 타입의 이미지 속에서 다시 한 번 드랙 분장을 한 채 등장하며, 이들의 스타성은 피에르&질 특유의 캠프적인 공간 속에서 부드럽게 해체된다.






St Martin 1989 Models: Karim, Marc Almond



Portrait of Tilda Swinton



Pierre et Gille, Sainte Affligée, 1991


전형성

이런 질문이 가능하다. 피에르&질은 왜 역사화에 집착했을까?
드랙 분장한 배우들의 출연이 곧 호모 에로티시즘을 보증한다, 라는 명제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그건 외려 손쉬운 해결이다.

미국의 어느 시골 마을에서 매년 열려지는 그림 축제가 있다.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유명 그림들을 마을 주민들이 그림 속 모델과 똑같이 분장해서 유명화를 연극 무대 위에서 그대로 복제하듯 재현하는 축제다. 항상 예매표는 일찍 동이 나 버리고, 매년 축제는 성황리에 끝이 난다.

이 축제에 내장된 기본적인 파토스는 '전형성의 권력'에 놓여져 있다. 그대로 복제하겠다는 뚜렷한 저의가 내장된 인공적인 재현은 늘 해체와 재구성을 기본 모토로 삼는다. 전형적인 이미지를 훼손하는 즐거움과 기쁨, 다시 복원한다는 정당성 아래에서의 키득거림, 그것이 곧 모방 예술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다.

예컨대, 피에르&질의 사진 작업의 원초적인 파토스는 '캠프적 감수성'이며, 캠프 문화는 항상 전형성을 모방하는 동시에 전형성을 문제삼고, 조롱하며, 재구성하는 힘을 갖고 있다.










Le Petit Jardinier 1993 Model: Didier



Le petit roumain – Drago, 1999



캠프camp

피에르&질은 모델들 대신 자신들이 직접 사진의 모델이 되기도 한다. 그들은 그들 스스로 '피에르&질'의 아이콘이 되어 버렸다. 현존하는 사진 작가 중 호모 에로티시즘에 관한 한 그들의 반짝거리는 캠프 미학에 견줄만한 이는 아마 없을 것이다.

유치할 정도의 잡다한 인공 꽃장식과 색색의 벽지들, 그리고 반짝거리는 미쟝센은 게이 캠프 문화의 장식성을 보증하는 낯익은 사물들이며, 키치가 '진정성'과 대립할 필요 없이 일군의 커뮤니티의 문화로써 자생할 수 있음을, 그 힘이 여전히 유효함을 증언하는 표징들이다.

그러나 인공의 왕국, 그건 여전히 보들레르식 나르시시즘의 원천을 제공한다. 또한 언젠가는 그렇게 덧없이 소멸해갈 것이다.



사진을 더 보시려거든

http://www.geocities.com/SoHo/Square/6807/pg/pg.html
http://www.denoirmont.com/artistes/galeries/pg6gb.html

피에르&질 소개와 인터뷰/영문

http://dir.salon.com/sex/feature/2001/03/01/pierre_gilles/index.html?pn=1

피에르&질에 관한 다큐멘타리 'Pierre et Gilles: Love Stories (1998)'

http://www.brightlightsfilm.com/24/pierregilles.html
목록
검색

피에르&질, 캠프

페티시즘, 피에르 몰리에르

컬트 사진가, 볼프강 틸만스

남성 누드의 로맨티시즘, Serge Golovach

  • 1
10:00~19:00 (월~금)

사무실 개방시간

후원계좌: 국민 408801-01-242055

(예금주 : 친구사이)

02-745-7942

Fax : 070-7500-7941

contact@chingusai.net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개인정보수집/이용
  • 찾아오시는길
  • 후원하기
  • 마음연결
대표 : 신정한 / 고유번호 : 101 82 62682 /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39-1 묘동빌딩 3층 (우)03139
Copyright 1994 © CHINGUSAI All Right Reserved.
  • 소개+
    • 가치와 비전
    • 조직
    • 살림
    • 연혁
    • 오시는길
  • 활동+
    • 마음연결
    • 소식지+
      • 표지
      • 연도별 기사
      • 구독신청
    • 소모임+
      • 마린보이
      • 지보이스
      • 책읽당
      • 문학상상
      • 가진 사람들
  • 알림+
    • 공지사항
    • 행사신청
    • 전체일정
    • FAQ
  • 커밍아웃
  • 후원+
    • 정기후원
    • 일시후원
    • 해피빈 후원
  • 아카이브+
    • 자료실
    • 취재 및 리포트 자료
    • 뉴스스크랩
    • 프로젝트+
      • 포토보이스
      • 성소수자 가족모임
      • 게이봉박두
      • 엄마한테 차마못한 이야기
      • 내그림
      • 인권지지 프로젝트
    • 청소년 사업+
      • 청소년 사업 소개
      • 목소리를 내자
      • 퀴어-잇다
      • 게시판
    • 가입인사
    • 자유게시판
    • 회원게시판
    • 활동스케치
  • 인권침해상담
Copyright 1994 © CHINGUSAI All Right Reserved.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