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title_Free
장금이 2003-12-16 22:47:18
+0 1442
흠... 보고 나서 다시 정리해봐야겠어요.



[영화세상] 정치성·性으로 본 영화 '반지의 제왕'

피터 잭슨 감독의 3부작 ‘반지의 제왕’ 3편 ‘왕의 귀환’이 도착했다.

1954~55년에 나온 J.R.R 톨킨(1892~1973)의 원작 소설 이후 48년 만에 영화로 완성된 것이다. 원작 못지않은 화제를 부른 대작 영화답게 다양한 시각의 독해가 가능한 작품이다. 정치성과 섹슈얼리티라는 렌즈를 통해 ‘반지의 제왕’을 들여다보았다.

톨킨은 인종차별주의자? 사우론 부대는 히틀러 군대? 숱한 사람들이 ‘반지의 제왕’을 단순한 판타지 소설이 아니라 세계를 향한 심오한 비유로 읽은 덕택에 톨킨은 살아 생전 ‘인종차별주의자’ ‘파시스트’ ‘성차별주의자’ 등 갖가지 비난을 들어야 했다.

톨킨의 열성 팬인 피터 잭슨 감독의 손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진 ‘반지의제왕’도 이런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왕의 귀환’에 나오는 펠레노르 전투 장면은 압권이다.

사우론이 보낸 악의 부대가 7층의 계단형 도시인 미나스티리스 공격에 나서서 곤도르와 로한 병사들과 대결하는 장면은 박진감이 넘친다. 그러나제3세계 유색 인종의 눈으로 보자면 마음이 편안하지만은 않다. 악의 부대구성원 가운데 눈 씻고 찾아 봐도 금발의 서양인은 없다. 게다가 코끼리조상쯤 되는 매머드를 닮은 괴물 올리파운츠에 올라탄 궁수들의 모습은 인도의 코끼리 부대를 연상시킨다.

사우론 군대의 주축인 우르크_하이는 인간이 아니라 다른 종족이라고 항변한다면 할 말이 없다. 그러나 선을 지키는 인간 종족은 한결같이 서양인으로 묘사되고 악의 종족은 유색인종으로 나오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 ‘인간=앵글로 색슨족’이라는 관점이 영화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

펠레노르 전투 장면은 2차 세계 대전을 연상시킨다. 사우론 군대가 대동한최신형 공성 장비를 보고 있노라면 히틀러가 개발해 낸 V2 로켓이나 U보트, 킹타이거 전차 같은 비밀 병기가 떠오른다. 미나스티리스는 독일군의 공격에 끝까지 버틴 영국 정도로 해석된다.

호빗족은 거세 당한 동성애자?‘반지의 제왕’은 일부러 섹스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으려고 애쓰는 영화처럼 보인다. ‘반지’는 ‘이빨 달린 질’(바기나 덴타타)을 버리러 가는원정대의 이야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영웅은 서로의 우정에만 골몰하며,여성은 모두 현실과 거리를 둔 채 이상화돼 인간의 손길이 감히 미치지 않는다. 마치 여자 근처에라도 가면 거세라도 당할까 걱정했던 듯하다.

반지의 주인 프로도(엘리야 우드)와 수행원 샘(숀 어스틴), 또 다른 호빗족인 피핀과 메리 등 ‘반지’의 영웅 사이에는 동성애적 분위기가 풍긴다. 프로도에게 버림받고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프로도를 걱정하고 그를구해내려 애쓰는 샘의 모습은 정확히 순정의 연인상이다.

전투에 몰래 참여하기 위해 갑옷을 입었다가 조롱을 받은 호빗족 메리가마치 어린 아이처럼 여성 전사 에오윈(미란다 오토)의 팔에 안겨 말을 타는 모습도 의아하다. 왜냐하면 이들 호빗은 키는 작지만 모두 어엿한 성인남자이기 때문이다. 백설공주가 일곱장난장이의 ‘남성성’을 인정하지 않았듯, 에오윈에게도 호빗족은 남자가 아닌 것이다.

서로 싫어하다가 둘도 없는 친구가 된 레골러스(올랜도 블룸)와 김리(존라이스 데이비스)의 이질적 결합도 흥미롭다. 꽃미남과 난장이 전사 사이의 끈끈한 애정이라니. 이 동성애적 분위기를 숭고한 우정으로 승화시키는데 필요한 것은 바로 지도자 격인 간달프 역의 이안 맥켈런이 풍기는 카리스마다.

실제 동성애자임을 밝히기도 한 이안 맥켈런의 흰 수염과 흰 옷, 그리고흰 말은 반지원정대 안에 흐르는 조금 어색할 수도 있는 동성애적 분위기를 누그러뜨린다. 그렇다고 해도 그것은 미소년과 철학자 사이에 꽃핀 그리스 시대의 우정(?)을 연상시킨다.

마음연결
마음연결 프로젝트는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2014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성소수자 자살예방 프로젝트입니다.